‘미세먼지 때문에’ 수도권 첫 시행
2부제 말로만… 짝수車 버젓이 통과
더욱이 직원들 대다수가 2부제 시행 여부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 관계자는 “우리도 2부제 시행 대상에 포함되는지 몰랐다”면서 “본청에서도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해 평상시처럼 짝수 차량들도 운행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초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수도권 미세먼지 저감조치’의 일환으로 수도권 행정ㆍ공공기관들이 시행한 차량 2부제가 도내 공무원들로부터 외면을 받는 등 큰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차량 2부제가 제대로 시행된 기관 역시 청사 주변이 직원 차량들로 혼잡을 빚는 등 역효과를 보이기도 했다.
이날 오전 출근시간대 수원시청 지하주차장 입구에는 2부제 시행을 안내하는 직원 2~3명이 나와있었다. 그러나 ‘차량 2부제 시행’이라고 적힌 어깨띠만 두른 채 정작 짝수 차량을 통제하는 등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짝수 차량들은 직원들을 유유히 지나쳐 지하주차장으로 향했다.
차량 2부제를 적극적으로 실시한 도내 공공기관에서도 혼란이 빚어지기는 마찬가지였다. 경기도청과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입구에서부터 짝수 차량의 진입을 차단했는데, 이 때문에 차를 가져온 일부 직원들은 다시 차를 돌려 청사 인근 주차 공간을 찾느라 출근길이 늦어지기도 했다.
성남시청과 용인시청, 안양시청, 의정부시청 등 도내 주요 시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잇따랐다. 일부 직원들은 단속 시간이 지난 뒤 다시 차를 청사로 가져오는 등 꼼수를 부리기도 했다.
일선 지자체 공무원은 “서울은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면제해 준다고 하던데 경기도는 그런 혜택도 없어 굳이 차를 두고 와야 할 필요성을 못 느꼈다”면서 “차량 2부제로 미세먼지가 얼마나 줄어들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환경부와 경기도, 서울시, 인천시 등은 지난 14일 기관별 비상연락망을 통해 수도권 지역 7천650개 행정·공공기관 임직원 52만 7천 명에게 비상저감조치 발령과 함께 차량 2부제 시행을 통보한 바 있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