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사대상은 거래소 ‘코인원’… 투자자들 아니다”

“정부 대책과 별개, 가상화폐 마진거래 수사 계속”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이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원(coinone)에 대해 수사(본보 1월10일자 6면)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과는 별개로 코인원에 대한 경찰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경찰은 현재 수사대상은 가상화폐 거래소이며 투자자들에 대한 수사는 아니라고 선을 그으며, 최대한 빠르고 신중하게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16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관계자는 “코인원의 마진거래에 대한 수사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마진거래를 ‘도박’으로 볼 수 있느냐의 문제는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차명훈 코인원 대표가 자신의 SNS를 통해 “마진트레이딩 관련해서는 경찰에서 사실 관계를 오해한 것이 있었고 큰 문제없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밝힌 것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개인의 생각일 뿐”이라고 일축, 코인원의 마진거래에 대한 수사가 상당 부분 진행됐음을 내비쳤다.

 

현재 경기남부청이 수사 중인 마진거래는 회원들이 최장 1주일 뒤의 시세를 예측, 공매수 또는 공매도를 선택하면 결과에 따라 돈을 잃거나 따는 방식이다. 이는 증시의 신용거래 기법과 유사하지만 결과를 예측해 돈을 건 뒤 승패에 따라 돈을 따고 잃는 방식이 도박으로 볼 수 있다는 게 경찰의 판단이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는 마진거래 서비스를 제공한 코인원에 대한 것이며 투자자들에 대한 수사계획은 아직 없다”며 “최근 가상화폐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큰 만큼 최대한 빨리 결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도 살아있는 옵션”이라며 “조속히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가상화폐에 대해서는 비이성적 투기가 많이 되는데 어떤 형태로든 합리적 규제가 필요하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며 “문제는 합리적 규제의 수준인데 전 세계적으로 여기에 대해 통일된 글로벌 스탠다드가 없다. 과세를 한다든지 실명제를 포함해 구체적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