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사계절 축제장 카라반 里長이 헐값매각 조건 임대

축제장 문닫자 애물단지 카라반 철원 농원 사업자에 임대 황당
市 예산 물품 관리 허술 지적에 市 “정부보조금 지원땐 관여못해”

▲ 철원 한 농원에 임대한 카라반
▲ 포천시가 수억 원을 들여 사계절 축제장에 설치했던 카라반이 운영이 안돼 애물단지로 전락하자 1년여 만에 마을이장이 개인 농원 사업자에게 3년후 헐값매각 조건을 달아 임대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철원의 한 농원에 임대된 카라반. 김두현기자
포천시가 관인면 중3리 사계절 축제장에 수억 원을 들여 카라반을 설치했다가 1년여 만에 마을 이장이 개인 농원 사업자에게 3년 후 헐값 매각 조건을 달아 임대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시와 농원 관계자 등에 따르면 시는 한탄강댐 건설로 인한 주변 지역 생활환경 개선과 소득증대사업의 하나로 지난 2016년 9월 28일 3억3천284만 원(국비 2억9천955만 원, 도비 3천328만 원)을 들여 캠핑용 카라반 10대를 구매, 사계절 축제장인 관인면 중3리에 설치하고 운영과 관리는 마을 운영위원회가 맡기로 했다.

 

그러나 사계절 축제장을 찾는 관광객들이 없어 문을 닫게 되자 카라반은 설치한 지 몇 개월 만에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이후 이장 A씨는 법에 묶여 처분하지도 못하고 보관할 공간도 마땅치 않자 강원도 철원에서 관광농원을 운영하는 B씨에게 3년 후 헐값 매각 조건으로 연 2천여만 원의 임대료를 책정하고 지난해 6월 27일 계약을 맺었다.

 

당시 시 담당 공무원은 A씨가 카라반을 임대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아무런 제재도 하지 않고 방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후임 담당 공무원은 이 같은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가 A씨로부터 카라반이 임대됐다는 사실을 듣고 B씨에게 연락, “잘 운영해 달라”고 부탁까지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2주일 동안 사용한 카라반 600대도 올림픽이 끝나면 매각할 계획인데 3년 후 헐값 매각 조건이 아니면 뭐하러 임대했겠느냐. 지자체가 운영하지 못하는 마을에 수억 원을 들여 카라반을 설치해 주는 건 예산 낭비”라고 주장했다.

 

이원석 시의원은 “어떻게 시 예산이 투입된 물품에 대한 관리가 이렇게 허술할 수 있는지 정말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며 “왕방산 암벽공원에 옮겨 설치했다면 예산 수억 원을 아낄 수 있었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한탄강 댐 건설로 주변 마을 소득증대사업으로 정부 보조금이 나와 마을에 지원되면 시가 관여하기가 어려워 당시 담당 공무원이 이장이 임대한다는 사실을 알고도 아무런 제재를 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