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EU 등 맥주 관세 철폐로 적자 더욱 커질 듯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맥주 수입이 증가하면서 맥주 부문의 무역 적자가 지난해 1억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 연간 수입액은 전년 대비 44.9% 증가한 2억6천309만 달러로 집계됐다. 맥주 수출액 1억1천245만 달러 의 두 배 수준이다.
수입액 증가 폭 역시 맥주 수출 증가율(23.7%)보다 훨씬 컸다. 국산 맥주의 수출도 증가했지만 수입액 증가폭이 수출을 뛰어넘어 적자가 심화됐다.
이로 인해 지난 해 맥주 무역적자 규모는 전년 대비 66.1% 급증한 1억5천65만 달러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1억 달러를 넘어선 것은 역대 처음이다.
맥주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으로 577만 달러 적자를 기록한 이후 매년 수입이 증가했다. 적자 규모는 5년 만인 지난해 25배가량 급증했다. 지난해 7월부터는 맥주가 와인, 양주를 제치고 주류 수입 첫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일명 ‘홈(Home)술족’이 증가하면서 이른바 ‘소맥문화’를 즐기던 소비자들의 맥주 취향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맥주 적자폭이 심화되는 가운데 수입 맥주의 국내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올해부터 주요국 맥주에 대한 수입 관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미 이달부터 한·미 FTA에 따라 미국 맥주에 대한 수입 관세가 사라졌으며 7월부터는 EU 맥주에 대해서도 관세가 철폐된다.
업계에서는 주요 수입 맥주 브랜드들이 더 낮은 가격과 다양한 맛을 앞세워 공격적으로 국내 시장 공략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