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발전과 한류 열풍에도 세계 시장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일본, 유럽 등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에 대한 이미지 제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미국, 중국, 베트남 소비자 총 1천200명을 대상으로 ‘한국제품의 해외소비자 인식조사’를 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산은 뚜렷한 경쟁우위를 갖춘 선도 이미지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일본산은 기술력, 유럽산은 글로벌, 중국산은 가격 등 국가별로 확고한 우위를 갖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세부항목으로는 한국산은 디자인(36%)과 가격(35%) 등에서 대체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기술력(25%), 고급성(18%) 등은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최근 한국산의 품질 및 이미지 향상에도 미국ㆍ중국ㆍ베트남 등 모든 시장에서 한국산은 여전히 일본ㆍ유럽산과의 경쟁에서 열세를 보였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한국 제품이 중국산보다 월등한 우위를 보였지만, 미국 시장에서는 중국산과 대체로 유사했다. ‘가격’에 대한 이미지는 한국 36%, 중국 55%로 10%p 넘게 열세였다. 중국시장에서는 거의 모든 이미지에서 자국산인 중국제품에 비해 경쟁에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연상이미지로 대체로 미국 시장은 문화ㆍ전통(45%) 등 오랜 역사를, 중국 및 베트남 시장은 엔터테인먼트(중국 35%, 베트남 57%)를 응답해 한류에서 비롯된 문화강국으로의 이미지가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베트남 시장에서는 한국에 대해 정직한(16%), 겸손한(15%) 등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약했고, 미국 시장에서는 4명 중 1명이 한국에 대해 연상되는 이미지가 없다(26%)고 답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섭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전자 등 일부 분야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한국산에 대한 뚜렷한 이미지가 없는 상황에서 중국산이 빠르게 한국산을 추격해 오는 것이 문제”라며, “명료한 국가이미지 구축과, 이와 연계된 브랜드 개발을 통해 해외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접근하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