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평창은 평화올림픽…‘평양올림픽’ 딱지 이해 안가”
청와대는 23일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너와 내가 따로 있을 수 없을 것이고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며 “‘평양 올림픽’이라는 낡은 딱지를 붙이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평창 올림픽 성공의 바람이 차이와 차별을 넘어 평화 올림픽으로 가도록 마음과 지혜를 모아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관련 국내 여론이 분열되고, 특히 남북 단일팀과 북한 응원단·공연단 파견 등에 대해 야당 비판이 거세자 이에 호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변인은 “대한민국 평창은 세 번의 도전 끝에 동계올림픽 개최지가 됐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30년 만의 경사”라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세계인의 축제인 올림픽 성공을 염원할 것이고 동계 올림픽을 준비해 온 강원도민, 평창·강릉 주민, 2만여 자원봉사자, 그리고 선수단의 노고는 특별한 격려와 응원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밝혔다.
이어 “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한반도에는 일촉즉발의 긴장이 감돌았다”며 “문재인 정부의 ‘대화를 통한 한반도 위기 해소’ 노력은 북한의 올림픽 참가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평창 동계올림픽은 한반도 평화를 넘어, 동북아의, 세계의 평화를 앞당길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래서 평창 올림픽은 평화 올림픽”이라며 “여기에 ‘평양 올림픽’이라는 낡은 딱지를 붙이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대회를 통해 남북 화해와 한반도 평화 증진에 노력해야 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남북 단일팀 구성 등에 합의가 이뤄지면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등 2011년 여야가 합의 처리한 평창올림픽특별법 주요 내용을 소개했다.
아울러 2010년 여야가 합의 처리한 평창유치결의안은 “동계올림픽이 세계 유일의 분단국인 대한민국의 평창에서 개최될 경우 동북아 평화와 인류 공동번영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지향하는 세계평화와 화합이라는 올림픽정신 구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란 내용이라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우리는 그 때 그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어 “동계 올림픽의 개최국으로서 참가하는 손님들을 따뜻하게 맞이하고 모두가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하자. 품격있는 주인으로서 손님들을 당당하게 맞이하자”라고 밝혔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