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지하수 수질 부적합 판정 비율 증가

경기도내 지하수 부적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기도수자원본부에 따르면 도내 지자체는 155곳(음용수 77곳, 생활용수 65곳, 공업용수 6곳, 농업용수 7곳)의 지역 지하수 수질측정망을 운영하며 매년 상·하반기 2차례 수질 검사를 하고 있다. 수질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비율을 보면 2013년 6.5%에서 2014년 7.1%,2015년 9.7%로 높아진 데 이어 2016년에는 11.0%에 달했다.

 

지난해 상반기 검사에서도 수질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이 11.0%에 달했다.

각 지하수 측정망의 부적합 판정 이유는 대장균군 기준치 초과가 70.7%로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질산성 질소 초과가 13.8%, 비소 초과가 6.6%, 수소이온 농도 초과 등 기타가 8.9%였다.

 

도는 지하수 수질 부적합률이 높아지는 것은 측정망 시설의 노후 등과 함께 가축분뇨 등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무분별하게 개발하고 있는 지하수 관정을 통한 오염물질 유입도 원인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모니터링 지역을 확대, 오염 사실이 드러날 경우강력한 원상복구 명령을 하는 동시에 지하수 수질측정망 개소수도 대폭 늘려나갈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개발한 지하수 채수용 관정의 사용량은 허가량의 43% 수준에 불과해 과다 채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며 “다만, 폐공 등을 통해 외부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돼 지하수 오염이 심화하고 있다고 보고 앞으로 예방대책을 강화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