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대 신산업 분야 집중 투자…미래 에너지산업 육성

산자부 업무보고, 자율주행차 산업생태계 조성…중견기업 ‘혁신성장’ 주체로 육성

정부가 자율주행차 산업생태계 등 신산업생태계 조성, 연구개발(R&D) 시스템 혁신에 나선다.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국무조정실 등 6개 부처는 24일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을 주제로 2018 정부업무보고를 진행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대 신산업 성과 창출과 에너지 전환 촉진, 전략적 통상협력 주력 등 3개 과제를 보고했다. 산업부는 산업 혁신성장 가속화로 우리 경제의 활력 회복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전기·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가전, 에너지신산업 등 5대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실증, 기술보호 등 민간 혁신역량 강화를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는 5대 신산업 분야에 9천19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철강, 조선, 석유화학 등 우리 산업의 척추 역할을 해 온 주력산업은 구조혁신을 통해 고도화한다. 4차 산업혁명 융합 첨단 산업을 차세대 주력분야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자율주행차 산업생태계 조성에 주력하기로 했다. 미래형 자동차를 조기에 산업화하기 위함이다.

자율주행 9대 핵심부품과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대구에 15㎞ 길이의 자율주행 부품 도로 평가환경도 구축할 방침이다. 오는 5월에는 자율셔틀, 자율택배 등에 대한 개발과 실증사업도 착수하기로 했다.

평창올림픽 계기 완전자율주행 시연(2월), 대학생 자율주행 경진대회(10월), 9대 핵심부품 개발 등을 추진한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