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 아성 무너뜨린 블록체인, 정부가 나서 활성화 추진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신산업 동력으로 활성화한다. 

이미 불록체인 기술은 정보기술(IT)기업과 금융권을 중심으로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 후 대체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형국이다. 그동안 가상화폐 투자로만 관심이 쏠렸던 블록체인 기술이 일상생활에 파고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세종에서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을 주제로 진행된 2018년 정부업무보고에서 올해 상반기까지 블록체인 관련 확산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 산업에 142억 원을 투자해 올해를 블록체인이 다양한 사업으로 확산되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취지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IoT(사물인터넷) 센터 데이터, 대용량 의료정보, 음악·영화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핵심기술 개발에 1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 물류·유통 관리, 전자투표, 저작권 관리 등 블록체인 실증 시범 사업에 42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블록체인 아카데미, 오픈포럼 등 교육지원 및 산학연 협력체계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양환정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가상통화 취급업소 규제와 별도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은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 부처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IT업계와 금융권은 특정 개인의 정보와 거래 내용을 여러 서버에 분산해 관리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해 본인 인증 시장에 뛰어들었다. 특히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가 공식화되면서 이 같은 움직임은 가속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 카카오의 금융 서비스 자회사 카카오페이는 자사의 본인 인증 플랫폼을 기업과 개인에게 완전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인인증서 시스템을 쓰지 않고 거래처나 고객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는 것이다. 또 은행권은 오는 3·4분기 출시를 목표로 자체 인증 수단을 개발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와 금융권의 본인 인증 수단의 공통점은 사용자의 정보를 암호화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린다는 것이다. 한 번 정보를 블록체인에 올리면 다음부터는 인증이 필요할 때 간단한 비밀번호를 입력 등을 통해 절차를 끝낼 수 있다. 반드시 1년에 한 번씩 별도의 갱신 절차가 필요했던 공인인증서와 달리 반영구적으로(금융권은 3년에 한 번 갱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백상일ㆍ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