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중화장실 2천585곳, 대변기 칸 휴지통 없어지고 여자화장실에 위생용품 수거함 설치

인천지역 공중화장실 2천585곳에 대변기 칸 휴지통이 사라진다.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공중화장실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역 내 공중화장실 2천585곳에 대변기 칸 휴지통이 사라지고, 이를 대신해 화장실 입구나 세면대에 큰 쓰레기통이 비치된다.

 

또 여자화장실 대변기 칸 내에 위생용품 수거함이 설치되고, 화장실의 청소·보수를 위해 다른 성별 작업자 출입 시 안내표지판 설치도 요구된다.

 

새로 지어지는 공중화장실의 설치 기준 역시 강화된다. 신축 공중화장실 남자화장실에는 소변기 가림막을 설치해야 하고, 출입구 구조가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없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특히 올해 시가 확충하려는 공중화장실은 신축 2곳, 개축 3곳 등 총 5곳이다. 신축은 옹진군 덕적면과 영흥면에서 이뤄진다. 개축은 부평구 갈산동, 강화군 삼산면과 서도면 등 3곳이다. 이들 공중화장실 신·개축을 위해 투입되는 사업비는 7억3천만원(시비 및 군·구비 각 50%)으로, 여자화장실 대변기 수를 남성화장실 대·소변기 수의 합 이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현재 787곳인 민간 개방화장실 지정을 확대하고, 치안장치(비상벨)를 120곳에 추가 설치하는 것도 올해 시의 공중화장실 관리계획에 담겼다. 지난해까지 비상벨은 383곳, 폐쇄회로(CC)TV는 717곳의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상황이다.

 

이밖에 시는 각 군·구에 공중화장실 운영 자문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비위생적·낭비적 이용습관을 고치는 내용을 중점으로 공중화장실 이용 문화에 대한 시민의식 개선 홍보를 진행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쾌적하고 편리한 공중화장실 제공 및 유지관리로 시민편익을 증진하는 동시에 깨끗하고 위생적인 생활공간 유지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취약지역 공중화장실에 대해서는 비상벨 등 치안장치를 설치해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