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인천 탈락…기존도시 스마트시티화 추가선정 ‘기대’

정부가 4차산업혁명의 모든 기술·서비스를 구현하는 플랫폼으로 강조하는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에 인천 송도국제도시가 끝내 제외됐다. 다만, 일선 지자체 등의 제안에 의한 시범도시 추가 선정 및 실증단지 공모가 예정돼 있어 연내 추가 선정의 여지를 남겼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9일 위원회 4차 회의를 열어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위원회는 세종 5-1 생활권, 부산 에코델타시티 등 2곳을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방침을 결정했다.

 

위원회는 당초 올해 말까지 공유수면 매립이 모두 마무리되는 송도 11공구 일대도 검토 대상에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관련 실사를 받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끝내 최종 선정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위원회가 최종 선정된 2곳의 접근성과 주변시설을 강조한 것으로 미뤄 인천국제공항·인천항과 가까운 송도 11공구가 선정부지에 비해 뒤지지는 않지만, 오는 2025년에야 기반시설 조성이 끝나는 점이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세종 5-1 생활권은 내년 상반기 조성공사에 착수해 오는 2021년 12월 입주 시작으로 예정됐으며, 부산 에코델타시티 역시 내년 상반기 조성공사에 착수, 오는 2021년 7월 이후 입주가 시작되는 것으로 예정됐다.

 

그러나 위원회는 일선 지자체나 민간(기업·대학) 등의 자유로운 생각이 시범도시로 구현되도록 지자체 제안을 받는 방식의 시범도시 추가 선정을 이르면 올 하반기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혀 송도국제도시가 스마트시티로 추가 지정될 가능성은 아직 있다. 

이런 가운데 국토부는 올해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사업 공모에 나설 예정이어서 오랫동안 해당 공모를 준비해온 인천경제청의 선정 가능성도 아직 남아있다.

 

이와 관련,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정부 방침으로 결정·발표된 만큼 사전에 관련 내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며 “공모가 예정된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선정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경제청은 현재 송도 G타워 문화동 3·4층에 구축된 스마트시티 운영센터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1만1천696개 시설물을 유지·관리하는 등 5개 공공분야 서비스를 수행 중이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