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무역통계진흥원 ‘중국산 농축산물 수입액 동향’ 분석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중국산 농축임산물 수입은 한국 중국 자유무역협정(FTA) 이행 전보다 줄었지만 과일과 채소 수입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중국산 농축산물 수입액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중국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36억2천만 달러로 한중 FTA 발효 전 평년의 36억9천만 달러보다 1.8% 감소했다.
한중 FTA는 2015년 12월 20일 공식 발효됐고 FTA 발효 전 평년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제외한 평균치를 말한다.
지난해 중국산 곡물 수입금액은 쌀·참깨·땅콩·대두 등의 반입 감소 영향으로 FTA 발효 전 평년보다 29.1%, 2016년에 비해서는 2.0% 감소했다.
쌀 수입도 14만6천t으로 2015년 16만4천t보다 11.0% 줄었다.
반면 중국산 과일·채소와 가공식품, 축산물의 지난해 수입액은 FTA 발효 전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과일·채소 수입액은 6억3천400만 달러로 FTA 발효 전 평년보다 12.6% 늘었고, 가공식품은 21.9% 증가한 9억6천3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축산물 수입도 FTA 발효 전보다 8.0% 증가해 1억6천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농축산물 수입액 중 중국산 비중은 13.0%로 2011∼2015년 평균 대비 0.6%P, 전년보다는 0.9%P 각각 줄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