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보호무역, 원화 강세·유가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 내수부진 영향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2월 기업경기전망이 지난해 5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2월 전망치는 91.8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2016년 6월 이후 21개월 연속으로 기준선 100을 넘지 못했다. 또 지난해 5월 전망치 91.7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한경연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본격화, 원화 강세와 유가 상승에 의한 채산성 악화에 내수 부진 우려가 겹친 것으로 풀이했다.
트럼프 정부는 최근 한국 가전과 태양광 제품 등에 세이프가드 조치를 시행하는 등 보호무역주의를 본격화했다. 통상 압박이 철강, 반도체, 자동차 등 타 업종으로도 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환율 하락과 유가 상승도 악재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년 동안 11.7% 하락한데 이어 올해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제유가는 작년 하반기 이후 급격히 올라서 2년 반 만에 배럴당 60달러를 넘었다. 기업의 채산성 전망은 93.9로은 전월 대비 3.1 하락했다.
한경연 송원근 부원장은 “달러, 유가, 금리 등 거시변수가 동시다발적으로 변해 대내외 리스크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며 “경영 불확실성을 줄이고 대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