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의 일상생활 속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31일 인천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인천시는 지역 간 문화격차를 없애고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과 ‘인천시 생활문화 지원 조례’에 근거해 생활문화를 위한 시설 조성 및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 시는 ‘인천시 생활문화 지원 조례’를 제정해 2016년부터 주민 생활밀착형 문화시설인 생활문화센터를 새롭게 개관하는 등 생활문화 진흥을 위한 토대를 닦고 있다.
올해 1월 기준 인천에는 남구 학산 생활문화센터 마당 등 생활문화센터 6곳이 운영되고 있고, 장차 2022년까지 20곳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러나 시 차원에서 생활문화센터의 운영 방향이 설정돼 있지 않고, 생활문화예술 진흥 사업도 활성화돼 있지 않다는 게 인발연의 분석이다.
인천의 생활문화예술 동호회를 조사한 결과, 동호회 활동을 하면서 주로 시간 부족, 접근성 문제, 정보 부족 등의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활문화센터 4곳의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평균 2명의 인력이 대관과 문화예술교육 위주로 운영하고 있고, 아직은 다양한 생활문화예술 사업을 본격적으로 기획·추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발연은 이를 토대로 생활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을 ‘시민이 가꾸는 일상의 문화예술, 함께 누리는 다양한 생활문화’로 설정하고, 3대 목표와 5대 추진전략, 18개 추진과제를 도출했다.
인발연이 내놓은 추진전략에는 지원제도 및 기구 체계화, 시설 확충 및 운영 지원, 생활문화예술 동호회 및 매개인력 양성, 생활문화예술 활성화 사업 발굴, 생활문화예술 지원재원 확보 등이 담겼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생활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해 시설 확충 외에도 생활문화예술 종합 지원기구 설립 등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