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벤처단체협의회, ‘제1차 혁신벤처 생태계 정기포럼’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벤처 업계와 유관 기관이 함께 진행한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술보다 국가 제도가 중요하고 데이터가 개방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범 혁신단체 모임인 혁신벤처단체협의회(이하 혁단협)가 31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 과학기술단체들과 함께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스타트업IR 센터에서 ‘데이터 개방과 혁신’을 주제로 ‘제1차 혁신벤처생태계 포럼’을 개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혁단협이 지난 해 11월에 발표한 ‘혁신 벤처생태계 발전 5개년계획’의 세부추진과제들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사회적 이슈 확산을 위해 올해부터 진행되는 정기포럼의 일환이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창조경제연구회 이민화 이사장은 “4차 산업혁명의 첫 단추는 클라우드와 데이터”라며 “4차 산업혁명이 성공하기 위해선 기술보다 국가 제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민화 이사장은 “대한민국은 데이터 규제로 인해 주요 신산업에서 중국에 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의 70%는 불법이다”라며 “빅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공지능은 굶고 있다”고 정부의 규제혁신을 촉구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이춘우 서울시립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산·학·관의 전문가들이 모여 ‘데이터 개방과 혁신’을 주제로 공공데이터 개방, 개인 정보 활용 촉진, 클라우드 활성화 등의 현안을 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했다.
혁단협 관계자는 “데이터 개방 서명운동은 우리나라의 과도한 데이터 규제로 인해 주요 신산업의 발전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과학계와 혁신벤처업계가 함께 힘을 합쳐 데이터 개방에 적극 나서도록 촉구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매 격월 정기포럼을 통해 혁신벤처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를 발굴하고 정책대안과 미래 비전을 제시하여 민간 주도의 혁신벤처생태계 완성에 앞장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