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인천형 도시재생’ 뉴딜정책

개항창조도시 조성 속도… 원도심 재생 성공모델로
올해 상상플랫폼·스마트시티 등 마중물 사업 착수

인천시가 올해부터 낡고 쇠퇴한 도시를 시민과 함께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고 원도심을 공동체 재생과 지역 일자리 창출의 혁신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한다.

 

31일 시에 따르면 오는 3월부터 내년 9월까지 진행되는 원도심균형발전계획 용역을 앞당기는 방식으로 도시재생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역 역사·문화를 활용한 특색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생활권 단위의 체계적·집중적 도시재생 추진으로 사업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노후 항만·산단 등에 대한 구조개편과 연계한 중장기 도시재생 마스터 플랜을 구체화 할 방침이다.

 

이에 시는 그동안 중앙 주도의 대규모 계획을 중심으로 한 도시개발 방식에서 탈피해 지역주도 방식, 소규모 사업중심으로 원도심을 개발하는 인천형 도시재생 계획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인천형 도시재생 계획의 중심에는 동인천르네상스 프로젝트(동인천역 주변 재정비촉진 사업),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원도심스마트시티 시범사업,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 도시재생 사업 등이 있다.

 

시는 먼저 개항창조도시의 속도감 있는 추진으로 원도심 재생 성공모델을 만들고자 올해 상상플랫폼 등 마중물 사업에 착수하고 25개 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을 마련한다. 또 동인천역 주변 재정비촉진 사업의 경우 도시재생을 통한 공동공간 제공, 일자리창출, 마을기업 육성 등 1석 3조를 노린다는 구상이다.

 

앞서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설치한 시는 시민과 함께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 9개 생활권으로 분류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 도시재생 사업을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 추진하고자 올해 시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예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시는 올해 전국 최초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에 스마트시티 기술을 접목한다. 시는 원도심에 기존 전면철거 방식의 도시정비사업 방식을 탈피,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고유문화를 보존하는 방식의 스마트시티 기술을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키로 했다. 원도심에 스마트시티 기술이 도입되면 범죄차량이 도시로 진입하면 바로 유관기관에 연락이 되고,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도 적용돼 가스·조명·교통안내가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시 관계자는 “원도심을 공동체 재생과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이 올해 본격 추진된다”며 “기존 전면 철거방식에서 탈피하고 스마트시티 기술을 접목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시민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