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스마트시티 국가 실증단지 공모를 본격 추진한다.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스마트시티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가 전략프로젝트 연구개발사업을 성사시키겠다는 구상이다.
31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정부의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로드맵 상 국가전략 R&D 실증단지 선정이 올해 예고된 가운데 인천경제청이 해당 공모 선정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경제청은 최근 ‘IFEZ 산업특화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모델 발굴’ 용역 착수보고회를 갖고 스마트시티 표준모델 도출 및 IFEZ 실증단지 도시모델 발굴에 본격 나섰다. 오는 6월 4일까지 진행될 이번 연구용역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맡는다.
국토부가 주관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국가 R&D 사업은 지난해 9월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5년간 1천159억원으로 계획됐다.
경제청이 관련 용역을 통해 선정할 추진 과제는 모두 3개 핵심과제와 13개 세부과제로 구성된다. 우선 시민 중심의 서비스 고도화 수요가 높은 도시모델을 구축하며, 기술혁신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리빙랩 형 모델도 구축한다. 리빙랩 형 모델은 환경(도시 미세먼지 시뮬레이션 예측 등), 에너지(집·빌딩·공공시설물 통합 에너지 관리), 생활복지(홀몸노인 돌봄 및 장애인 이동성 보장 등) 등을 실증 대상으로 한다.
다만, 앞서 정부가 발표한 세종·부산 등 국가시범도시 2곳과 연관된 지자체 제안 시범도시에 송도국제도시가 선정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다. 국토부는 올 하반기 제안 및 선정을 거쳐 내년 관련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2020년 조성에 나서겠다는 순차적인 계획만 발표했을 뿐 세부적인 내용은 아직 확정 짓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IFEZ는 그동안 국내외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주도했고,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는 등 스마트시티 기술력 확보에 차별화된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시민들의 안전과 복지를 우선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도시 건설을 위해 민관이 협업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천경제청은 지난 10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소관 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 회의과정에서 일선 지자체 중 유일하게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보유기술 등을 설명한 바 있다. 위원회는 아직 매립공사가 진행 중인 송도 11공구 일원의 국가 시범도시 선정 여부를 검토했으나 기반시설 착공 시기가 맞지 않아 선정에는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