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진이나 대형화재 등 재난상황에 대비한 응급의료시스템 구축을 본격화한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며 도는 재난발생에 대비한 환자구조 체계를 수립하고 관련 기관 간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응급의료 거버넌스를 통한 재난대응 의료시스템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는 이번 계획은 도내 7개 재난거점병원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경기도형 재난대응의료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재난거점병원은 아주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차병원, 한림대성심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명지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등 7곳이다. 이들 재난거점병원은 도내 44개 보건소와 34개 소방서, 63개 응급의료기관과 협력해 효율적으로 재난피해 사상자를 치료하는 응급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도는 우선 올해 7개 재난거점병원을 중심으로 병원별 재난전담 교육팀을 구성하며, 이들을 중심으로 재난대비 응급 교육을 전문화·활성화하기로 했다. 이는 재난 발생 현장 치료와 환자이송, 응급환자 치료 등 각 단계별로 상황에 따른 대응방법을 응급상황 발생 시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교육팀은 관할 지역 내 보건소와 소방서를 대상으로 질환상태에 따른 응급환자 분류방법, 현장응급진료소 설치방법 등을 소개하는 합동재난대응교육을 31개 시군별로 진행한다. 또 이들이 함께하는 긴급구조종합훈련 역시 31개 시군별로 3월부터 각각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병원의 재난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발한 ‘병원 내 재난대응 교육콘텐츠’를 교육팀에 보급해 관할 의료기관 훈련에 활용할 방침이다. 원내재난대응 교육콘텐츠는 장파열, 다발성 외상 등 40여 개 응급환자별 상황을 카드 형태로 기록한 것으로 훈련 참가자들은 상황에 대한 적합한 진료, 수술ㆍ입원, 전원 등의 조치를 결정하며 응급대처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류영철 경기도 보건정책과장은 “재난의 인명피해는 지역 내의 신속한 조치 및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평소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와 지속적인 교육훈련으로 효율적 재난시스템이 가동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