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천국제공항을 세계 6위 허브공항으로 육성하고 공항을 중심으로 한 경제권 육성계획을 제시했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발표한 ‘2018년 주요정책 추진계획’에 포함된 인천공항 관련 육성정책에 인천 지역사회의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정부는 우선 연간 1억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는 인천공항 4단계 사업을 올해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오는 2023년까지 계획됐으며 올해 사업 관련 실시설계 절차가 우선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올해 안으로 인천공항 3단계 물류단지 32만㎡ 일대를 자유무역지역 지정이 추진된다. 이곳에는 신선화물 전용 터미널과 함께 글로벌특송사(FedEx) 터미널 개발사업에도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인도와 러시아, 중국 등 새로운 환승시장을 개척해 동남아~미주 등 환승축 운항 편수를 늘리며, 스톱오버상품 개발, 마케팅 추진 등 환승수요 증대를 위한 절차에도 나선다.
국토부는 특히 공항 중심 경제권 육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즈니스, 물류, 첨단산업 경제거점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인천공항은 항공물류, 국제 비즈니스 분야가 집적된 경제거점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일선 지자체들의 의견수렴과 효과분석을 거쳐 올 하반기 ‘공항경제권 구상계획’을 수립하고 3~4곳의 시범 선도공항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도공항에 인천공항 선정이 유력한 가운데 김해·청주 공항 선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항공정비(MRO) 산업은 지난해 핵심산업자로 선정된 한국항공우주㈜(KAI)를 중심으로 사업 착수를 지원하겠다고 밝혀 지역사회와 마찰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는 그동안 국토부에 항공정비 수요가 높은 인천공항 제4활주로 인근 부지에 MRO 단지 지정을 요청해왔다. 그러나 국토부는 KAI와 주도적으로 전문 MRO JV(조인트벤처) 설립 및 격납고 신축지원 등의 사업에 착수하겠다는 뜻을 밝혀 사천공항을 중심으로 한 MRO 사업 추진이 우려된다.
이와 관련,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혁신성장의 성과를 가시화해 일자리 창출 및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마련하는데 정책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