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해소하는 방향으로 규제와 인프라 정비해야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가상화폐(암호화폐) 시장이 국내외 규제로 타격을 입으면서 대장 격인 비트코인 가격이 ‘거품 사이클’ 상 막바지인 금융경색 단계에 근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한국금융연구원의 금융 브리프에 게재된 ‘최근 비트코인 가격급락 현상과 가상통화 생태계’에 따르면 사이클상 대폭락 직전인 금융경색 단계에 가까워졌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창안한 거품의 생성·붕괴에 관한 신용 사이클 모델은 통상 거품은 대체, 호황, 도취, 금융경색, 대폭락 등 다섯 단계를 거친다.
대체 단계는 블록체인처럼 새로운 시대를 개척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을 때 발생하며, 투자자가 점차 시장에 진입하면서 호황과 도취로 넘어간다. 도취 단계에 이르면 투자자들은 뒤처질 수 없다는 조바심과 더 큰 차익을 기대하는 마음 탓에 비트코인을 매수한다.
이광상 연구원은 비트코인 시장의 경우 이미 지난해 11월 시점에 도취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봤다.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빠른 속도로 오르면서 11월께 1천만원을 넘어섰다.
가상화폐 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11월 1천만원, 12월에는 2천만원을 넘겼다. 올해 1월에는 2천6백만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와 중국, 인도 등 세계 각국이 가상화폐 규제를 강화하고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상승세가 꺾였다. 비트코인 가격은 2일 한때 고점 대비 1/3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이제는 비트코인이 가격 상승에 의구심이 생기는 금융경색 단계로 향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투자자문회사 콘보이 인베스트먼트 창업자인 하워드 왕과 영국 가상화폐 헤지펀드 프라임 팩터 캐피털의 공동창업자 애덤 그림슬리 등 전문가들도 비트코인 가격이 금융경색 단계에 상당히 근접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광상 연구원은 “향후 각국 정부는 가상통화가 갖는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규제환경과 인프라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