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평창외교전’ 돌입…‘평화 모멘텀 만들기’ 전력투구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평화 외교전’에 들어간다. 평창올림픽은 스포츠를 통한 세계적인 평화대제전이라는 외에도 이를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의 모멘텀을 살려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의 길로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제132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 개회식 참석을 시작으로 해외 정상급 인사들과 연쇄회동을 갖는 등 다자간 정상외교 무대에 오른다.

 

우선 문 대통령은 5일 강원 강릉아트센터에서 열리는 IOC 총회에 참석해 방한한 IOC위원들을 만난다. 문 대통령은 6일엔 청와대에서 케리스티 칼유라이드 에스토니아 대통령, 7일엔 쥴리 파이예트 캐나다 총독,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리투아니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갖는다. 

8일엔 청와대에서 펜스 부통령을 접견하고 함께 만찬을 한다. 같은 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한정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접견 일정도 잡혀있다. 또 이날 알랭 베르세 스위스 대통령과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각각 진행한다.

 

8일 하루동안 미국·중국 대표에다 유럽 3개국 정상을 만나는 등 5명의 정상급 인사와 회담하는 것이다. 특히 8일은 북한이 건군절 70주년 열병식을 열겠다고 예고한 날이라, 북미관계가 악화된 상황에 펜스 부통령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눈길이 쏠린다.

 

중국의 한정 상무위원과의 회동에서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 간 공조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평창올림픽 개막일인 9일엔 평창에서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이 계획돼 있다. 아베 총리는 한반도 주변 4강 중 평창올림픽 기간 방한하는 유일한 정상이다.

 

이번 한일정상회담에선 양국 간 과거사 문제를 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말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중대한 흠결’이 있었다면서 후속조치 마련을 지시한 뒤 한일관계는 급속히 냉각된 상태다.

 

이에 따라 역사 문제와 미래지향적 협력을 분리대응하려는 한국정부 기조가 관철될 수 있을지 눈길이 모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마크 루터 네덜란드 총리와도 각각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13일엔 라이몬즈 베요니스 라트비아 대통령, 15일엔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총리, 20일엔 보루트 파호르 슬로베니아 대통령과 각각 오찬을 겸한 회담이 계획돼 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