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7일 열리는 2월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광역의원 선거구 획정안을 처리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자유한국당 김성태·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등 여야 3당 원내대표는 5일 국회에서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회동에서 2월 임시국회 현안 등을 논의하고 이 같이 공감했다.
민주당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광역의원 정수 문제는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헌정특위)에 조속히 처리하도록 독려하고 요청해 7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어 “광역의원의 연동형 비례대표제, 기초의원 중대선거구제 시행 문제는 헌정특위가 추후 적극 협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김성태 원내대표도 “지방의원 정수를 조정하는 것은 7일까지 처리하도록 여야 3당 원내대표가 헌정특위 위원들에게 적극 권고하고 합의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광역시·도별로 구성된 선거구획정위원회로 하여금 지방선거일 6개월 전까지 시·군·자치구별 의원정수와 선거구 획정안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지방선거가 6월13일 치뤄지는 만큼 선거구획정위는 지난해 12월13일까지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안을 마무리 지었어야 했다.
이와 관련, 여야는 지난해 정개특위에서 광역의원 선거구 및 기초의원 정수를 논의하려 했으나 광역의원 선거에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는 문제 등을 놓고 정면충돌,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 역시 늦어졌다.
정개특위 활동 종료 이후 구성된 헌정특위도 지난 1일 광역의원 선거구 및 기초의원 정수 등을 의결할 예정이었으나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놓고 평행선을 달리면서 회의가 무산됐다.
이런 가운데 여야가 시간에 쫓겨 선거구 획정을 졸속으로 합의할 경우 지역별 특성을 감안하지 못한 게리맨더링이 재현돼 유권자의 표심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여야가 이번에도 광역의원 선거구획정안 합의에 실패할 경우 지방선거 출마를 희망하는 예비주자들이 막판까지 출마지를 결정하지 못하면서 대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