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 받는 ‘인천형 공유경제’…市, 올해부터 3년간 20억 투입

촉진위 구성 마스터플랜 수립
내년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주목받고 있는 공유경제가 인천형이라는 이름을 달고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5일 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3년간 인천형 공유경제를 활성화하고자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공유경제란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해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뜻한다.

 

지난 1월1일 공포된 ‘인천광역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에 의거 인천형 공유경제 도입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키로 한 시는 2020년까지 3개년에 걸쳐 공유경제도입 기반 구축(2018년), 공유경제 추진체계 구축(2019년), 공유문화 확산 추진(2020년) 등의 계획을 내 놓았다.

 

시는 공유경제도입 기반을 구축하고자 올해 공유경제촉진위원회를 구성·운영(15명 이내)하고 공유경제 도입 및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타·시도 벤치마킹 및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 내년에는 공유경제 추진 체계인 공유경제지원센터 등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구축한 뒤 2020년 공유경제 실천환경 조성을 위한 홍보·캠페인을 통해 시민 생활 속 공유문화 확산에 매진할 계획이다.

 

현재 시가 구상하고 있는 공유경제 플랫폼은 자전거·택시 등 교통수단, 쉐어하우스와 주차장, 관공서 회의실 등 공간, 장난감·유아용품 등 물건은 물론, 경험과 재능을 나누는 재능공유 플랫폼까지 다양하다. 실례로 시가 지난 2008년부터 추진한 일종의 공유경제 플랫폼인 ‘도담도담 장난감월드’는 예술회관점 등 지역 15개 지점에서 장난감과 도서를 무료로 대여해주고 있다.

 

시는 단순히 물품 공유를 넘어 경험과 재능을 나누는 재능공유 플랫폼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재능 공유 플랫폼은 고객에게 1인 프리랜서부터 전문기업까지 재능을 이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직업에 대한 가치관 변화로 프리랜서를 선호하는 현상, 창업 열풍으로 인한 수요 급증 등이 재능공유 플랫폼에 대한 기대감을 거치게 하고 있다.

 

이처럼 시는 인천형 공유경제 플랫폼을 만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예산이 문제다. 조례상 3년간 20억원을 투입하기로 명시됐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아 올해 예산을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는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이 세워지면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올린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공유경제지원센터를 만들고 모바일앱 등을 활용하는 등 큰 그림은 그렸지만, 아직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나온 것은 아니다”면서도 “도담도담 장난감월드를 통해 공유경제의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에 대한 경험은 축적됐기에 다양한 플랫폼을 구상해 인천형이라는 이름에 맞게 추진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