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지역 내에서도 임산부 등록 공유 안돼 불편
수원시 팔달구에 거주하면서 권선구에 있는 직장에 다니는 A씨(37ㆍ여)는 최근 황당한 일을 겪었다.
임산 4개월째인 A씨는 팔달구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을 했고, 그동안은 임신 지원 정책에 따라 이곳에서 엽산제와 철분제 등을 지급받았다. 그러다가 얼마 전 철분제가 떨어진 사실을 알게 된 A씨는 점심때를 이용, 회사 근처 권선구보건소를 찾아 철분제를 받으려 했지만 보건소에서 돌아온 대답은 “안 된다”였다.
당황한 A씨는 왜 그런지를 따져 물었고, 해당 보건소는 “우리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이 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형식적인 답변만을 할 뿐이었다.
같은 지자체에 있는 보건소마다 정보 공유가 되지 않아 거동이 일반인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운 임산부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당초 정부가 60억 원이나 들여 임산부에 관한 전산시스템을 만들어 어느 곳에서나 임신 지원 혜택을 받게 한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면서 예산 낭비라는 지적까지 사고 있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2007년 지역보건소에서 제각각으로 사용하는 내부전산시스템을 일원화하기 위해 60억 원을 들여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도입했다. 또 이 시스템의 유지ㆍ보수 비용으로 매년 20억 원가량이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상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임산부가 철분제 등을 받기 위해 최초 등록한 보건소가 아닌 다른 보건소를 방문할 경우, 등록 미확인 등으로 임신 지원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일선 현장에서는 보건소간에 유선상으로 임산부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기존 보건소에 등록된 것을 취소하고 새롭게 임산부 등록을 한 뒤 철분제 등을 지급하는 등의 이중 행정마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같은 지자체에 있는 보건소간 임산부 대상자 정보 공유가 안되고 있다”면서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개선책을 검토 중”이라고 해명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