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후발 거래소 계좌 계획 아직 없어…법인계좌 가능하지만 시선 곱지 않아
은행에서 회원 입금용 가상계좌를 발급받지 못해 거래를 중단한 가상화폐 거래소가 나왔다.
6일 가상화폐 업계에 따르면 거래소 코인피아는 이날 0시를 기해 거래를 중단했다.
코인피아는 “본인확인실명제 연동을 은행 등에 요청했으나 기존 시스템 안정화 등을 이유로 은행과의 본인확인 실명제 연동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일반 법인계좌를 통한 KRW 예치금 입금 및 반영도 검토했으나 안정적인 서비스가 담보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KRW입금을 무리하게 진행하는 것은 고객들의 혼란만 가중할 것이라 결론짓고 6일 0시부를 기해서 거래를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지난 달 30일 가상화폐 거래 실명제가 시작되면서 은행들은 빗썸, 코인원, 코빗, 업비트 등 대형 거래소 4곳에만 가상계좌 발급을 하고 있다. 이를 제외한 후발 거래소들은 가상계좌를 통한 원화입금은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가상계좌 발급을 막지 않는다는 입장이지만 은행들은 기존 대형 거래소외에 추가로 후발 거래소에 계좌를 발급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존에 거래를 해오던 거래소에만 실명확인 계좌를 발급해주고 있다”며 “다른 거래소를 추가해 계좌를 발급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은행들이 후발 거래소에 가상계좌를 발급하지 않으면서 거래를 중단하는 거래소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코인플러그는 현재 원화 입금, 신용카드 포인트의 비트코인 전환 등 일부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야랩스도 가상계좌 거래가 중단되면서 운영 중단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후발 거래소들이 가상계좌를 통한 원화입금은 불가능하지만 법인계좌로 입금은 받을 수 있다. 신규 회원 유치도 가능하다. 금융당국은 법인계좌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는 하지만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혹시라도 불똥이 튈까봐 전전긍긍하고 있다. 실제로 코인네스트 등 법인계좌를 사용하는 일부 거래소는 정부의 실명 거래 방침에 따라 법인계좌 사용을 자체적으로 중단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블록체인협회는 자율규제안에 거래소의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해 은행을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은행들이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현재로선 미지수다.
한편, 7일 국회에서는 자유한국당 가상화폐 대책 TF의 주최로 ‘가상화폐 제도화’ 토론회가 열린다.
백상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