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많은 고양·의정부·동두천 등 진보진영 연승
10개 자치단체장 중 민주 4·한국 5… 접전 예고
6일 정치권에 따르면 경기북부 시·군 10곳은 접경지역 특성 등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강한 보수성향을 보이면서 보수 정당(현 자유한국당)에 유일한 판세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최근 지방선거 등을 거치면서 진보 정당(현 더불어민주당)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일부 지역을 차지하며 판세가 뒤바뀌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야가 지역별로 수성과 탈환에 총력을 기울이는 등 6월 지방선거에서 건곤일척의 한판 승부가 예고되고 있다.
지난 1회 지방선거부터 6회 지방선거까지 경기 북부 10곳의 정당별 당선현황을 보면, 보수 정당은 경기 북부에서 4곳 이상에서 꾸준히 승리를 거두고 있다. ★도표 참조
특히 3회과 4회 지방선거에서는 각각 10곳 중 9곳, 7곳에서 당선되는 등 압승을 거뒀다. 하지만 2010년 제5회 지방선거부터 진보 정당과 팽팽한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5회 지방선거에서 당시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10곳 중 4곳에서 각각 승리를 거둬 동률을 이뤘다. 하지만 무소속 2곳 승리를 합하면 사실상 보수 정당인 한나라당의 패배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민주당이 승리한 지역이 북부 최대 지자체인 고양을 비롯, 의정부·파주 등 인구가 30만 명이 넘는 비교적 큰 지역이라는 점이어서 한나라당에게는 두 배의 아픔으로 작용했다. 또한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도 당시 여야는 5곳씩 나눠가지며 동률을 이뤘으나 고양·의정부·동두천 등에서 진보 정당이 연승을 이어가 보수 정당 텃밭이라는 주장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현재 북부 10개 시·군 단체장 현황을 보면 시장이 공석인 파주를 제외하고, 여당인 민주당이 4곳(고양, 의정부, 양주, 동두천), 한국당이 5곳(남양주, 구리, 포천, 가평, 연천)으로 한국당이 1곳이 많다. 하지만 인구가 많은 지자체 단체장 대부분이 민주당 소속이고, 더 이상 경기북부가 보수 정당의 텃밭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오히려 민주당이 수성을 하고, 한국당이 탈환을 해야 하는 판세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와 관련 한국당 도내 의원 관계자는 “대표적인 접경지역 중 하나인 동두천의 경우, 민주당 시장이 내리 3선을 하고 있는 등 예전처럼 접경지역이라고 보수세가 강하진 않다”면서 “과거 보수와 진보 개념이 옅어졌다고 보는 것이 맞다. 선거판세를 바꿔보려고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