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이익 및 비이자이익의 안정적 성장이 실적 견인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우리은행은 8일 실적을 발표하고 2017년 연간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20% 증가한 1조5천121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실적은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건전성 관리로 대손비용도 지속적으로 감소해 경상이익 창출능력이 더욱 향상된 결과라고 은행 측은 설명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은 전년대비 10% 증가했으며, 이자이익은 대출성장과 순이자마진(NIM)의 개선에 따라 4% 수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외환분야 및 자산관리상품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44%를 웃돌았다.
대출 부문에서는 중소기업 대출이 7.8%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수신 부문에서는 저비용성 예금이 10%에 육박하는 성장을 나타냈다. 수수료 이익 부문은 신탁관련 이익이 ELT 판매 확대에 따라 전년대비 80% 넘게 늘어나는 등 자산관리 상품의 고른 성장으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판매관리비와 대손비용은 효율화 및 건전성 제고 노력에 지속적인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판매관리비는 3분기 3천억 원 수준의 대규모 명예퇴직 비용 발생에도 전년 대비 1.5% 수준 향상에 그쳤고, 대손비용은 전년 대비 5.9% 감소했다.
주요 건전성 지표는, 2017년 말 고정이하여신비율 0.83%, 연체율은 0.34%로 전년 말 대비 각각 0.15%p, 0.12%p 개선되어 위험관리 능력이 더욱 향상됐다고 우리은행은 설명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2017년은 그동안 추진해 온 체질개선 노력의 결과로 펀더멘탈이 더욱 공고해져 수익성이 한 단계 성장하는 일 년이었다.”라며 “2018년은 서민금융 증대와 중소기업 지원 확대 등 ‘더 큰 금융’을 실천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