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에게 최저임금(올해 기준 시간당 7천530원)을 주자는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자가 불과 한 달여 만에 20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이는 국회의원들에 대한 대다수 국민의 신뢰도가 낮음을 보여주는 결과인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코너에 따르면, ‘국회의원 급여를 최저 시급으로 책정해 주세요’라는 청원은 오후 2시 40분 기준으로 21만 6천여 명이 동의했다.
지난달 15일 관련 청원이 개설된 이후 청원마감을 이틀 앞두고 청와대 답변 기준선인 20만 명을 넘어선 것이다. 청와대는 국정 주요 현안과 관련해 30일 기간 중 20만 명 이상의 국민이 추천한 청원에 대해서는 청와대 수석이나 각 부처 장관이 청원마감 이후 30일 이내에 답변하도록 하고 있다.
청원인은 국회의원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반대하며 정치적 공방에만 몰두한다며 맹비난했다. 이 청원인은 “최저 시급 인상 반대하던 의원들부터 최저 시급으로 책정해주시고 최저 시급으로 일하는 노동자들처럼 점심식사비도 하루 3천500원으로 지급해주세요”라며 “나랏일 제대로 하고 국민에게 인정받을 때마다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바꿔주세요”라고 제안했다.
이어 “철밥통 그들도 이제는 최저 시급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제일 아까운 세금이 입에 걸레 문 국회의원 월급”이라고 비꼬았다.
한편, 20만 명 이상의 동의로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청와대 국민청원은 12일 현재 총 7건이다. 가상화폐 규제반대를 비롯해 나경원 의원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 파면과 미성년자 성폭행 형량 종신형 강화,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 처벌 강화, 초중고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 정형식 판사 판결에 대한 특별감사, 국회의원 최저시급 책정 등이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