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관전포인트] 정당 보다 지역이익 대변자 선택… ‘인물투표’ 이어갈지 주목

도지사-시장·군수 다른 정당 지지 ‘균형투표’ 61회
‘묻지마 투표’ 탈피… 권력집중 견제 심리도 작용

여야가 6·13 지방선거 주도권 잡기에 나선 가운데 역대 경기도지사-시장·군수 선거에서 각기 다른 정당 후보를 선택하는 ‘균형투표’가 60회 이상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권자들이 ‘줄 투표’(동일한 기호의 후보를 줄줄이 찍는 투표 행태)보다는 ‘인물’과 ‘정당’을 구별해 표를 던졌다는 의미로,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인물 투표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6차례의 경기도지사-시장·군수 선거에서 서로 다른 정당 후보를 지지한 경우는 61회에 달했다.

선거별로는 제1회 지방선거(19곳), 제2회 지방선거(10곳), 제3회 지방선거(7곳), 제4회 지방선거(4곳), 제5회 지방선거(13곳), 제6회 지방선거(8곳)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가평이 5회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구리(4회), 의정부·안양·양주·동두천·오산·하남·김포·양평(각 3회) 등의 순이었다.

 

균형투표가 가장 활발했던 제1회 지방선거 때는 도지사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이인제 후보를 선택한 의정부, 안양, 부천, 안산, 고양, 의왕, 오산, 시흥, 군포, 하남, 광주 등 11개 지자체에서 민주당 후보를 시장으로 선출했다.

 

지난 2014년 6·4 지방선거 당시 의정부, 동두천, 구리, 하남, 이천, 김포 등 6개 지자체는 도지사 선거에서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가 승리했지만 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당선됐다. 이와 달리 안양의 경우 도지사 선거는 새정치연합 김진표 후보가, 시장 선거는 새누리당 이필운 후보가 각각 선택을 받았다.

 

앞선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도 도내 31개 기초지자체 가운데 3분의 1 이상 지역에서 균형투표가 이뤄졌다.

 

성남과 의정부, 평택, 고양, 구리, 오산, 화성, 하남, 파주, 용인, 김포 등 11곳은 도지사로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를 뽑았으나 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에게 표를 던졌다. 또 김 후보를 도지사로 선택한 동두천과 가평은 시장·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들의 손을 들어줬다.

 

이는 경기도민들이 정당만을 보는 ‘묻지마 투표’보다는 지역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 에게 표를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각기 다른 정당에 소속된 도지사-시장·군수를 선출, 권력이 특정 정당에 몰리는 것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윤종빈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지역과 정당에 매몰된 투표가 아닌, 유권자가 체감할 수 있는 ‘지역이익’에 집중한 인물 투표가 이뤄진 것”이라며 “동원만 되는 유권자가 아니라 계산을 할 줄 아는 ‘스마트’한 유권자로서의 투표 행태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