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위원장은 13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취임 기자회견을 열고 “촛불 대선 이후 첫 선거인 만큼 국민의 요구에 철저하게 응답하는 후보를 공천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박 위원장은 “공천 과정에서부터 야당을 압도해 공천에서 사실상 승부를 결정짓겠다”며 역대 가장 엄격한 공천기준을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 박 위원장은 “자유한국당이 16년 동안 독식한 경기도지사 1당 지배 체제를 종식하고 문재인 정부의 공약이 도정과 시정, 지방의회에 반영돼야 ‘진짜 정권교체’”라며 “탄핵과 정권교체 과정에서 심판받지 않은 한국당의 지방세력을 심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략공천과 관련, 박 위원장은 “출마희망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한 만큼 도당에서 수습해야 한다”면서 “7+3 원칙에 충실하고 나아가 충분한 협의와 의견합치를 거쳐 전략공천이 이뤄져야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7+3 공천원칙’은 기존 청와대 고위공직자 7대 배제 원칙(병역기피ㆍ세금탈루ㆍ불법적 재산증식ㆍ위장전입ㆍ연구표절ㆍ음주운전 ㆍ성범죄)에 ▲각종 방식의 해당 행위 및 문재인 정부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언행 ▲채용입학 비리 및 인사비리 ▲사회적 지위를 이용한 갑질행위로 물의를 일으킨 경력 등 3가지가 추가된 것이다.
한편 도당 공직선거후보자 검증위원회는 이재은 수원시정연구원장이 위원장을 맡게 됐다. 검증위는 모두 9명이 참여하며 당내에선 표창원 의원(용인정)이 포함됐다. 나머지 7명의 위원은 변호사, 세무사, 교수 등 분야별 외부 전문가로 꾸려진다. 검증위 심사에 불만이 있을 경우 이의신청처리위원회를 통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5명으로 구성된 이의신청처리위원회는 김병욱(성남분당을) 의원이 위원장을 맡는다. 설 연휴 이후 공직선거후보자 검증위원회 인선을 마무리하고 대변인단과 가짜뉴스대책위원회를 발표하는 등 경기도당을 지방선거 준비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박준상기자
사진=조태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