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 분양 중심 구조에서 총괄 기업으로 변해야”

건설산업연구원…국내 주택시장 호황 마무리, 장기사업으로 전환해야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국내 주택건설업체들이 분양 중심 사업 구조에서 개발·관리·운영을 총괄하는 토털서비스 기업으로 변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저성장기 일본 임대주택 기업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국내 주택시장의 호황기가 마무리되고 있다며 분양 중심의 단기 사업에서 운영을 중심으로 하는 장기 사업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성장기 일본 임대주택 기업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는 건설산업연구원에서 발간한 ‘일본 임대주택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허윤경, 2018)’ 연구보고서를 요약한 내용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저성장기에 진입한 일본의 경우, 장기 저성장기에서 성장이 가능했던 건설사는 대부분 임대주택사업을 영위하는 주택메이커라며 우리나라 건설사들도 본격적인 저성장기가 오기 전에 시장 지위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전환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보고서에서는 1955년 설립된 일본 다이와하우스공업이 저성장기에도 괄목할 만한 매출성장을 기록한 비결로 ‘기획·설계→시공→임대차→관리·운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밸류 체인(value chain) 구축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국내 건설사들도 기획·시공, 관리·운영, 자산관리로 이어지는 선순환 모델을 만들어 수요자들에게 ‘토털(종합)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윤경 연구위원은 “소비자들은 단순 시공·분양보다 ‘관리·운영’까지 포함한 보다 업그레이드된 토털서비스를 원하고 있다”며 “국내 건설사들도 이를 인지하고 변신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