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노조 “정부에 손벌리기 전에 자구책 밝혀라”

글로벌GM이 부실화 주범 지적 고리·과도한 매출원가율 등 통해
수조 이익금 빼돌려 경영난 자초 자본·시설투자 확약 받아내야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조치로 인천 부평공장을 비롯해 창원·보령 등 타지역 공장 근로자들의 고용불안이 심화되자, 한국GM노조가 근로자 고용 생존권 보장을 위해 정부가 나설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GM노조는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글로벌GM의 일방적인 군산공장 폐쇄 및 구조조정을 통보를 규탄했다.

이들은 “글로벌GM은 한국GM에 고금리 이자와 과도한 매출원가율, 사용처가 불분명한 업무지원비, 수억원이 넘는 임원 임금 등 비정상적인 경영으로 수조원이 넘는 이익을 빼돌렸다”고 지적하며 “자구책도 없이 막무가내로 정부 지원을 요구하는 글로벌GM의 요구에 노조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문재인 정부는 한국GM 30만 노동자 고용 생존권 보장을 위해 글로벌GM의 자본투자와 시설투자 확약을 받아내야 한다”며 “한국GM 특별세무조사실시 및 경영실태실사 과정에서 노동조합의 참여 보장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어 더불어민주당 한국GM 대책 TF와 간담회를 갖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군산공장 폐쇄 즉각 철회, ISP(외국인 임원) 및 상무급 이상 임원 대폭 축소, 글로벌GM 차입금 전액(약 3조원)의 자본금 출자전환, 신차투입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 확약 등이다.

 

이 자리에서 임한택 지부장은 “글로벌GM이 신차물량이나 수출물량에 관한 구체적이고 연차적인 계획을 내놓는다면, 노조는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을 양보할 준비가 돼 있다”며 한국GM 정상화 방안에 힘을 보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에 대해 홍영표 더민주 TF 위원장은 “TF는 미국 본사와 한국GM간 불평등한 구조개선과 구체적인 생산물량·투자계획이 전제된다면 법과 기준에 따라 정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기본입장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한국GM 노조는 오는 22일 유정복 인천시장과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며, 23일에는 부평공장에서 부평역까지 군산공장 폐쇄 철회와 공장 정상화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