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소비자들이 영세 상인과 정치권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다이소의 문구 판매 제한 방침에 대해 국민청원과 SNS 등을 통해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다이소 문구판매 규제를 반대하는 청원글이 이날 현재까지 20여 건 게시됐다. 다이소가 지난 7일 문구 판매와 관련, 중소상공인들과의 자발적 상생안을 발표했음에도 정부와 정치권이 규제에 나서려 하자 청원 등의 방법으로 불만을 나타낸 것이다.
골목상권 보호 명분으로 다이소를 무조건 규제하는 것이 되레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당 청원글에서 한 소비자는 “아이를 키우다보니 교육에 필요한 문구류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 간다”며 “다이소는 교육 재료의 ‘가성비’가 좋아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피해는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스스로를 초등학교 5학년이라 밝힌 한 소비자는 “문구점은 용품 가격이 비싸 아직 용돈을 많이 못 받는 초등학생은 주로 다이소에 간다”면서 “많은 물건을 사는 걸 좋아하고, 싼 게 좋은데 어떡하죠”라고 청원글을 올렸다.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청원을 독려하는 게시물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게시물 댓글에서도 “3,40년 전 장사하던 방식 그대로 장사하면서 다이소 때문이라는 핑계”, “소비자가 물건을 싸게 살 권리도 지켜줘야” 등 다이소 규제를 반대하는 여론이 대다수다.
앞서 문구 관련 단체들은 지난해부터 다이소로 인해 동네 문구점이 피해를 입고 있다며 중기 적합업종 지정을 정부에 요구해 왔다. 이에 다이소측은 지난 7일 최근 문구 품목을 대폭 줄이거나 가격 책정 전략을 수정하는 등 판매를 최대한 제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상생 방안은 동반성장위원회 및 전국학용문구협동조합 등과 협의를 통해 내놓을 방침이다.
안웅걸 다이소 상무는 “문구 관련 단체들과 정치권에서 문구점 침체 주범으로 다이소를 지목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면서도 “무조건적인 규제보다는 골목상권 보호 뿐만 아니라 소비자 후생 등 다양한 관점에서 머리를 맞대고 조율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조성필ㆍ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