엥글 GM 총괄 부사장 “부평·창원 공장에 신차 각각 배치 가능성”
시는 한국GM 부평공장의 신차 배정이 전제될 경우 GM이 희망하는 정상화 여건이 이뤄지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시가 전제조건을 내세운 신차 배정이란 현재의 부평공장 생산라인을 신차 생산라인으로 전면 교체해, 고용과 생산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의미다. 이에 시는 21일 산업통산자원부에서 열리는 실무자회의 등을 통해 세제지원을 위한 외투지역 지정 등 한국GM의 정상화 여건 조성 협조를 정부측에 요구해 나가기로 했다.
현행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외국인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받으려면 정부가 지정한 신성장동력사업을 영위하거나 외투지역, 경제자유구역, 자유무역지역 등에 입주해 있어야 한다. 현재 한국GM은 최대주주가 GM의 미국 본사로 1차적 요건은 갖췄지만 감면대상사업 요건은 갖추지 못했다.
하지만 시는 부평공장 전체가 아닌, 신규라인이 설치되는 곳만 외투지역으로 지정하면 이 같은 요건이 충족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외투기업 세제혜택은 신규 투자를 대상으로 하고, 지정이 이뤄져도 공장을 증설·신설하는 등 새로운 자본을 투자해야 하는 데 신규라인이 설치되는 곳은 이 같은 여건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시는 정부와의 협의가 원할이 진행되면 외투지역 지정 등을 위한 행정 절차도 신속하게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외투지역으로 지정되면 5년간 소득·법인세를 100%, 추가로 2년간 50%를 감면받을 수 있다.
시 관계자는 “한국GM 전면 철수는 인천 경제에 사활이 달린 문제”라며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GM이 희망하는 정상화 여건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배리 엥글 GM 총괄 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GM International) 사장은 이날 국회를 방문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신차 두 종류를 부평, 창원 공장에 투자(배치)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