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참여 문턱 낮춰 끊임없는 시민 중심 소통행정 펼칠 것”
2017년 2월24일, 제35대 수원시 제1부시장으로 부임한 이한규 부시장의 취임 일성은 ‘수요자(시민) 중심 행정’이었다. 어느덧 1년이 지났다. 취임 1주년을 앞두고 만난 이 부시장은 “지난 1년 동안 ‘어떻게 해야 수요자 중심 행정을 할 수 있을까’ 끊임없이 고민하고, 실행하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 부시장은 “민선 6기에 추진한 다양한 사업이 마무리된 지난 1년은 결실을 거둔 해였다고 소회를 밝혔다.
- 수요자중심행정을 강조하고 있는데.
기업은 소비자의 동기·욕구를 파악하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한다. 그래서 계속해서 소비자 수요를 파악하고, 수요를 만들어내기까지 한다. 이에 반해 공무원들은 그런 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공무원들도 시민 욕구와 수요를 파악하지 못하면 시민에게 버림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수요자 중심 행정’을 펼치려면 공무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시민이 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이에 동기 부여를 위해 ‘대외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부서와 개인의 성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해주려 노력했다. 수원시는 지난해 40여 차례 기관 표창을 받으며 정책의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무엇보다 상의 질이 높아졌다.
- 시정에 시민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민 참여 기반’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시는 지난해 11월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정책 결정·실행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인 ‘수다 플랫폼’(www.sooda.or.kr)을 개설한 바 있다. 또 좋은시정위원회와 광교산상생협의회는 1년 동안 수차례 회의를 열며 시민 의견을 수원시에 전달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역할을 했다.
‘수다 플랫폼’은 좀 더 많은 시민이 시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금은 ‘디지털 시대’이지만 디지털만 강조하면 디지털이 익숙하지 않은 시민은 참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참여 기반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최대한 많은 시민의 목소리를 듣겠다.
- 수원시가 지방분권개헌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데.
수원시는 ‘지방분권개헌’에 앞장서고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지난 1월 전국 지방자치단체장 공동신년사를 주도하는 등 ‘6월13일 지방분권개헌 국민투표’ 실현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영국의 사회학자 앤소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국가는 큰일을 하기에는 너무 작고, 작은 일을 하기엔 너무 크다’고 했다.
지역주민의 삶과 관련된 행정은 지방정부가 수행하는 것이 맞다. 지금의 지방자치는 모든 사람이 똑같은 옷을 입고 있는 것과 같은 모양새다. 지방정부에 권한을 대폭 위임하는 지방분권개헌으로 지방정부가 지역 특색에 맞는 정책을 만들고, 집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최근 스마트시티가 강조되고 있는데.
지난 1년 동안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 조성에 관심이 부쩍 늘어났다. 수원시는 지난해 12월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한 ‘민원 예측 분석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구축한 바 있다. 스마트시티의 목표는 ‘도시문제 해결’이다.
이를 위해 도시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앞으로 시민들이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많이 만들어질 것이다. 우리 시 정보통신과가 여러 플랫폼을 통합하고,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해 가공하는 CIO(최고정보전문가) 역할을 하도록 만들 계획이다.
이명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