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GM 후폭풍 협력업체 줄도산 공포, 대책 시급하다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발표로 부평공장 근로자와 협력업체들까지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군산공장 폐쇄 결정 후폭풍으로 부평공장이 소재한 인천지역이나 경기 반월ㆍ시화공단은 벌써부터 일감이 줄면서 공장 가동률이 떨어져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줄도산 공포 위협까지 느낀다.

한국GM 협력업체들이 모인 협신회는 19일 유정복 인천시장과 간담회를 갖고 한국GM 경영정상화를 위해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 협신회는 협상은 ‘GM과 정부 간 문제’지만 빠른 협상이 이뤄져 공장이 정상 가동되길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정부 협조와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GM 부평공장이 축소될 경우, 협력업체에는 ‘사형선고’나 마찬가지라며 공장 축소는 폐쇄와 다를 바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국GM 부평공장은 군산·창원·보령을 포함해 국내 4개 GM 공장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직접 고용 인력만 1만1천 명이 넘고, 남동공단을 중심으로 1차 협력업체 51곳의 고용 인원은 2만6천여 명에 달한다. 인천 지역내총생산(GRDP)의 15%, 인천 수출물량의 22%를 차지할 정도로 인천 지역경제의 핵심 동력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협신회는 인천시가 한국GM 지원과 관련해 정부에 긍정적 분위기 조성에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또 세제혜택 등 시가 할 수 있는 선제적 조치와 함께 노조와의 협상과정에서 적극 지원해줄 것도 요청했다. 협신회는 설 연휴 전 청와대에 ‘한국GM과 관련된 근로자 20만명의 일자리를 지켜달라’는 내용의 호소문을 전달하기도 했다. 유정복 시장은 “한국GM, 협력업체, 노조 등 각 대표와 회의를 열어 한국GM 회생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며 세제 혜택 등 제도적 지원은 검토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이 정부와 GM의 원만한 협상으로 다시 공장이 가동되면 좋겠지만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 부평공장 등 타 지역으로 불똥이 튀고 지역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되므로 위기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군산공장이 폐쇄될 경우 ‘산업위기지역’ 지정 등 응급대책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는 군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GM이 한국내 공장의 완전 철수까지는 아니어도 다른 공장을 축소하거나 구조조정할 수도 있다. 해당 공장뿐 아니라 협력업체와 공장 인근 자영업자 피해 등 지역경제 악영향이 불 보듯 뻔하다.

특히 GM 의존도가 높은 인천 지역경제가 크게 휘청일 수 있다. 부평공장 근로자와 협력업체들은 군산공장 폐쇄가 남의 일이 아니라는 불안감을 크게 느낀다. 정부는 물론 인천시는 비상 상황임을 인식하고 자구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