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결산] 2. 평창올림픽을 빛낸 별중의 별

▲ 최민정, 스벤 크라머, 하뉴 유즈루, 윤성빈, 클로이 킴, 에스터 레데츠카
▲ 최민정, 스벤 크라머, 하뉴 유즈루, 윤성빈, 클로이 킴, 에스터 레데츠카. 연합뉴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수많은 스타들이 평창 하늘을 빛냈다. 전 세계 최고의 선수 2천920명이 참여한 이번 올림픽에서 기존 슈퍼스타들의 존재감은 여전했고 새로운 스타들도 등장했다. 별 중의 별, 평창의 하늘을 유난히 밝힌 스타들을 소개한다.

 

■ 쇼트트랙 세계 1위 ‘얼음공주’ 최민정

역시 세계 랭킹 1위는 차원이 달랐다. 최민정(성남시청)은 쇼트트랙 여자 1천500m와 3천m 계주에서 압도적인 레이스를 뽐내며 금메달 2개를 목에 걸었다. 비록 1천m 결승에서 넘어지며 ‘3관왕 신화’를 이뤄내지 못했지만 최민정이 보여준 긍정적인 태도와 강인한 정신력이 바탕이 된 완벽한 레이스는 그녀가 왜 명실상부한 세계 최강자인지 입증하는데 충분했다.

■ 빙속 장거리 ‘황제’ 스벤 크라머

‘빙속 황제’ 스벤 크라머(네덜란드)는 압도적인 기량을 뽐내며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천m에서 올림픽 3연패를 이뤘다. 크라머는 지난 11일 열린 5천m서 6분09초76으로 자신의 올림픽 신기록을 1초 앞당기며 우승, 남자 선수로는 전무후무한 올림픽 3연패의 신화를 썼다. 스피드스케이팅서 남자 선수가 단일 종목에서 올림픽 3연패를 이루기는 크라머가 처음이다.

 

■ 남자 피겨의 ‘새 역사’ 하뉴 유즈루

하뉴 유즈루(일본)는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서 2연패를 달성했다. 2014년 소치 대회 우승자인 하뉴는 1948년 생모리츠 대회와 1952년 오슬로 대회에서 연달아 우승한 딕 버튼(미국) 이후 66년 만에 남자 싱글서 2회 연속 우승하는 쾌거를 이뤘다. 하뉴는 평창에서 일본에 첫 금메달을 안겨줌과 동시에 역대 동계올림픽 1천번째 금메달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 새로운 스켈레톤 ‘황제’ 윤성빈

‘스켈레톤 천재’ 윤성빈(강원도청)이 평창에서 당당히 ‘황제’로 우뚝 섰다. 썰매 입문 5년여 만에 황제로 등극한 윤성빈은 한국은 물론 아시아 선수 최초로 이 종목에서 메달을 딴 선수가 됐다. ‘스켈레톤의 우사인 볼트’로 불리는 마르틴스 두쿠르스(라트비아)를 넘어서 ‘윤성빈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렸고, 새로운 황제의 탄생에 전세계는 열광했다.

 

■ 어려도 강하다 ‘천재 스노보더’ 클로이 김

평창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결선에서 역대 여성 최연소(만 17년 296일)로 첫 금메달을 딴 클로이 김. 재미교포 2세인 클로이 김은 2016년 2월 US 그랑프리에서 여자 선수 최초로 1080도(3바퀴) 연속 회전에 성공, 사상 첫 100점 만점을 기록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평창올림픽에 미국 대표로 출전해 최고점으로 생애 첫 금메달을 안았다.

 

■ 알파인스키ㆍ스노보드 金 에스터 레데츠카

에스터 레데츠카(체코)가 동계올림픽 사상 최초로 한 대회서 서로 다른 종목을 석권해 2관왕에 오르는 진기록을 작성했다. 레데츠카는 지난 17일 알파인스키 여자 슈퍼대회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안나 파이트(오스트리아), ‘스키 여제’ 본(미국)을 깨고 우승해 이변의 주인공이 된 뒤, 24일 열린 주 종목 스노보드 평행대회전에서도 정상에 올랐다.

 

■ 대한민국에 컬링 열풍 불어넣은 ‘팀 킴’

평창올림픽 최고 인기를 누린 여자 대표팀 ‘팀 킴’은 (김)영미와 영미 친구 김은정, 영미 동생 김경애, 영미 동생 친구 김선영, 영미 동료 김초희의 도전 이야기는 전 국민을 열광시켰다. 대표팀은 이번 올림픽에서 사상 첫 4강 진출은 물론 아시아 국가 최초로 은메달을 걸며 온 국민을 울렸다. 성적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독특한 캐릭터와 스토리, ‘영미’라는 국민 유행어까지 만들어내며 대한민국에 컬링 열풍을 불어넣었다.

▲ 여자컬링 대표팀. 연합뉴스
▲ 여자컬링 대표팀. 연합뉴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