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에 끌려가지 않는 협상력 필요”

범시민 대표간담회… 정치·언론 등 각계 대표 모여 대책 논의
“여야민정TF 꾸려 인천 목소리 전달… 명확한 자구책 마련해야”

▲ 제너럴모터스(GM)의 군산공장 폐쇄 방침과 관련해 26일 오후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한국GM 경영정상화 대책 마련 범시민 대표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장용준기자
▲ 제너럴모터스(GM)의 군산공장 폐쇄 방침과 관련해 26일 오후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한국GM 경영정상화 대책 마련 범시민 대표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장용준기자
인천지역 정치권과 언론, 시민·사회단체가 한국GM 경영정상화 한 목소리를 내기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

 

이들은 한국GM 문제가 여·야를 떠나 인천 경제의 한 축이기에 시민에게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공감대를 형성한 뒤 필요하다면 여야민정 테스크포스를 꾸려 인천의 목소리를 정부와 한국GM에 전달하겠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인천시는 2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한국GM 경영정상화를 위한 범시민대표 간담회’를 열고 한국GM 철수설 및 구조조정설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각계 대표들은 한국GM 문제는 여·야를 떠나 인천 경제의 한 축이기에 투명성 확보를 위한 사전실사, 불투명한 경영개선, 미래비전 제시, 노조와의 협의 등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며, 무조건적인 양보보다는 정부의 협상 능력을 높여 경영정상화를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이들은 ‘한국GM의 경영정상화를 해야 한다’는 큰 방향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방법론차원에서 인천시가 옛 대우자동차처럼 끌려갈 것이 아니라, 한국GM에 대한 자구계획을 명확히 가지고 가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인화 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장은 “현재 정부가 글로벌GM과 협상을 하고 있는 단계”라며 “정부의 협상능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인천시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정연 한국여성CEO협회장은 “현재 주쟁점은 한국GM에 맞춰져 있는데 인천에는 많은 외국인투자기업이 있다”며 “한국GM을 포함해 외투기업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시와 국회가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정부가 협상은 하고 있지만, 인천시도 정확한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며 “단순히 인천경제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할 것이 아니라 항만에 미치는 영향,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 옛 대우차 구조조정을 토대로 한 영향 등을 세분화해서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송원 시민사회소통네트워크 공동간사는 “인천시의 역할 중 가장 큰 것은 시민의 여론을 형성하는 것”이라며 “해양경찰청 환원처럼 여야민정TF를 구성을 통해 여론을 이끌어내 정부의 협상 능력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유정복 인천시장은 “기본적으로 시에서 할 수 있는 지역 협력업체 지원, 일자리 확보, 현황 파악 등에 최선을 다하고 여야 정치권과 긴밀히 협의해 시의 목소리가 정부에 전달될 수 있게 하겠다”며 “정치권에 특위가 구성돼 있고 시 자체에서도 준비하고 있기에 당분간 시가 구심점이 돼 조율한 뒤 필요하다면 여야민정TF 구성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윤관석·박찬대·유동수·박남춘·홍영표·안상수·정유섭·이학재·이정미 국회의원, 이승부 인천상인연합회 회장, 오동근 경기일보 인천본사 사장 등 지역 정치권과 언론, 시민·사회단체 관계자가 함께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