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이 강도 높은 비용 절감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글로벌GM으로부터 빌린 차입금 만기가 도래하는데다 코앞으로 다가온 신차 배정을 통한 경영정상화 자구책으로 보인다.
28일 한국GM에 따르면 최근 내부적으로 전무급 임원 35%, 상무·팀장급 인원 20% 감축 방안이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임원을 포함한 팀장급 500여 명에게 일방적으로 임금 동결을 통보했다. 이들은 노조원이 아녀서 임금 조정과정에서 합의나 동의가 필요 없다.
여기에다 임원을 포함한 모든 직원의 법인카드 사용을 금지했으며, 각 부서에서 사용하는 물품 구매 품의도 보류시키는 등 당초 예상지출을 모두 올스톱 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비용 감축 기조는 올해 임금협상에도 이미 나타나고 있다. 한국GM 사측은 임금 동결과 성과급 지급 불가, 승진 유보 등 대폭 삭감된 복리후생안을 담은 교섭안을 노조 측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글로벌GM이 신차물량 배정에서 비용절감을 가장 큰 고려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나오는 자구책으로 꼽힌다. 이렇다 보니 한국GM이 임단협을 통한 비용절감 노력이 코앞으로 다가온 글로벌GM의 신차 배정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이날 열린 한국GM 임단협 3차 교섭에서 노조 측은 노동자들에게만 경영 실패 책임을 전가하지 말라며 사측 임원진의 임금 공개 및 임원진 희망퇴직 등의 결단을 촉구했다.
아울러 지난 15년간 연구개발비로 7조2천억원이 지불된 것을 두고 사측의 설명을 요구했다. 한국GM이 비용을 들여 개발한 신차 등 라이센스가 글로벌GM에게 귀속되는 상황이 지속되면,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라이센스 확보 등이 시급하다는 요구를 전달할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노조는 이날 오후 2시 정부 서울청사 옆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금속노조 결의대회에 참석해 군산공장 폐쇄 철회와 한국GM 경영 정상화 등을 촉구했다. 노조 측은 정부의 한국GM 실사에 노조 추천 전문가 참여, 정부가 노정교섭에 나설 것 등을 요구하며 청와대 사랑채 앞까지 1.1㎞ 거리를 행진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