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3.1절 기념사, 여야 반응 '온도차'

일제 압박에 항거하기 위해 전세계에 민족의 자주독립을 선언한 3ㆍ1절에도 여야는 다퉜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3·1절 기념사를 통해 1919년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을 대한민국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데 대해 여야가 서로 엇갈린 입장을 보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문 대통령의 기념사를 ‘명문 연설’이라고 치켜세운 반면 야당은 ‘건국절 논란’을 수면 위로 끌어올려 대여 공세를 한층 강화했다.

 

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는 아흔아홉 돌을 맞는 3·1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3·1운동 정신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나아갈 방향을 일목요연하게 밝힌 품격 있는 명문 연설이었다”고 치켜세웠다.

 

이어 “문제는 침략행위에 대한 통절한 반성이 부족한 일본 정부의 태도다”면서 “일본은 과거 침략행위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심 어린 사죄와 반성은커녕 독도 소유권을 언급하는 등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에 오히려 질곡이 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당은 안보 이슈를 앞세워 정부 여당에 대한 공세의 수위를 높였다. 우선 한국당 정태옥 대변인은 “건국 100주년을 언급한 것은 근대사에 대한 논란을 재점화시킬 우려가 크다”며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에 대해 논란과 갈등을 유발할 소지를 불러일으킨 것은 신중치 못한 발언이었다”고 평가절하했다.

 

그러면서 “대북관계에 있어서 지나치게 전향적인 점은 바람직하지 않다. 평화공동체 등을 거론하면서도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선 전혀 언급이 없는 대북 저자세에 우려를 표한다”면서 “또 일본과 국제관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꺼낸 강경책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걱정이 앞선다”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김철근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한일·남북관계와 100주년 건국절에 대한 대통령의 현실 인식에 우려를 표한다”며 “건국 100주년이라는 발언으로 우리는 또다시 백해무익한 건국절 논쟁에 휩싸이게 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일관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 정부가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면서 “‘북한 눈치 보기’ 저자세로 북핵 문제에 대한 한마디 언급 없이 평화만 주장한다고 평화가 찾아오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