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6명은 상사나 동료로부터 폭행, 모욕 등 신체적·정신적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8월 30인 이상 사업체에 종사하는 만 20세 이상∼50세 미만 근로자 2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 내 괴롭힘 실태 조사’에 따르면 과거 5년 사이 피해를 겪은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66.3%에 달했다.
성별로는 남성(68.2%)이 여성(64.3%) 보다 직접적 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 비율이 더 높았다. 업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등 공공재 산업 분야의 피해 경험률이 80.5%로 가장 높았다. 또 소득이 낮을수록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았다. 평균 가계소득에 따른 피해 경험률은 월 200만 원 미만인 경우 74.0%였지만 소득 규모가 늘면서 점차 줄어 700만 원 이상은 59.9%까지 떨어졌다.
가장 최근에 당한 괴롭힘 유형으로는 협박·명예훼손·모욕·폭언 등 ‘정신적인 공격’(24.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업무 외적인 일과 과도한 업무를 지시하는 등의 ‘과대한 요구’(20.8%), 소외·무시 등 ‘인간관계에서의 분리’(16.1%)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응답자의 40.1%는 ‘상담 창구가 설치돼 있지 않다’고 답했고 14.5%는 ‘그런 게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겠다’고 답해 정작 피해자들이 고충을 토로하고 자문할 제도적 장치는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근주 한국노동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우선 가이드라인을 배포해 자율적 규제를 유도한 뒤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입법을 추진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