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섬유 및 장신구 분야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유해물질 시험분석 인프라’가 구축된다.
김진흥 경기도 행정2부지사와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장은 7일 양주 소재 한국섬유소재연구원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섬유·장신구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국가기술표준원은 시험분석 장비 도입에 필요한 국비 12억6천만 원을 지원하고, 도는 5억4천만 원을 투자해 경기북부(한국섬유소재연구원)와 남부(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각각 1곳씩 ‘섬유·장신구 유해물질 시험분석소’를 구축한다.
이는 경기도가 전국 편직업체의 56%, 염색업체의 52%가 소재한 국내 최대 섬유산업 거점임에도 그동안 섬유 전문 시험기관이 없어, 시험분석을 지원하고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 지원기관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등 국내 규제 외에도 유럽과 미국 등 글로벌 바이어의 유해물질 수입 규제(시험성적서 요구) 등 환경과 안전에 대한 비관세장벽이 강화되면서 섬유 전문 시험기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시험분석소에서는 도내 10인 이하 영세 섬유·장신구 분야 기업 및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제품 KC인증에 필요한 시험분석과 함께 유해물질 검출 시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제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 도는 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석비용의 75%를 지원하고, 부적합 제품에 대한 사례를 데이터베이스(DB)로 축적, 유해물질 발생에 대한 보다 정확한 원인분석의 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이번 협약으로 도내 섬유·장신구업 소상공인의 국·내외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은 물론 도내 생산 제품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나아가 소비자 보호까지 달성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험분석소는 이르면 9월 말 본격적인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김진흥 부지사는 “제품안전 인프라 구축은 국민을 위한 국가의 책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기업과 소상공인은 인증부담을 덜고, 국민은 섬유제품을 안전하게 믿고 쓰는 환경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