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해 무드 경기도 남북 교류사업 기대감

▲ 지난 2011년 5월 경기도가 말라리아 방역 용품을 북측에 보내고 있다. 경기일보 DB
▲ 지난 2011년 5월 경기도가 말라리아 방역 용품을 북측에 보내고 있다. 경기일보 DB

남북이 4월 정상회담을 추진키로 하는 등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그동안 올스톱 됐던 경기도 남북 교류사업이 재개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기도는 아직 북한에 대한 국제제재 등이 적용되고 있어 제한적으로나마 인도적 차원의 남북 협력사업이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002년부터 현재까지 24개 사업에 266억 원을 들여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했다. 주요 남북 교류협력 사업은 북한 농촌현대화, 개성 개풍양묘장 조성, 말라리아 방역, 결핵환자 지원 사업 등이다.

 

그러나 2010년 천안함 피격에 따른 5·24 조치 이후 남북교류협력 사업은 사실상 단절됐다. 또 북한의 핵개발 시도 등에 따른 남북 관계 경색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등과 맞물리면서 경기도 대북 협력 사업은 올스톱 된 상태였다.

 

도는 이번 정상회담 추진으로 남북 교류사업에도 활기를 띨 것으로 보고 남북 교류 사업을 준비 중이다. 대북제재 틀 내에서 인도적 지원 및 스포츠?문화교류 사업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우선 결핵치료제 지원, 말라리아 남북공동방역ㆍ산림병해충 방제사업 등은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유소년 축구 및 양궁 등 스포츠 교류 확대와 중단됐던 개성 개풍 양묘장 조성, 개성한옥 보존사업 등도 조심스럽게 추진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와 함께 남측 접경지역에 또 하나의 개성공단을 만드는 근거 법안인 통일경제특구법 제정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 법이 제정되면 파주·연천·김포·고양 등 접경지역에 최소 330만㎡ 규모의 통일경제특구를 만들기 위한 근거가 생긴다.

 

도 관계자는 “남북 화해 분위기에 따라 경기도 남북 교류사업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일방적인 퍼주기식 사업이 아닌 남북이 서로 도움이 되는 교류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