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선거 새 변수… “도시형생활주택 표심 잡아라”

전통 보수 텃밭 원도심에 경인전철 1호선 등 들어서
진보성향 30·40대 유권자 대거 유입… 4黨 전략 고심

‘도시형생활주택 표심을 잡아라’

 

인천 원도심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이 오는 6·13 지방선거 판세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경인전철1호선과 인천지하철1호선 주변 원도심에 들어선 도시형생활주택이 진보성향의 30~40대 유권자의 유입을 불러와 전통적 보수 표밭 이었던 표심이 진보 성향으로 변화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남동구와 부평구, 중구 등에 따르면 부평구 부평동(부평역), 남동구 간석동(간석역), 남구 주안동(주안역) 중구 동인천동·신포동(동인천역)·도원동(도원역) 등 경인전철1호선 역사 주변과 부평구 산곡동·부평동(부평구청역), 남동구 구월동(인천시청역, 예술회관역)·간석동(간석5거리역) 등 인천1호선 역사 주변에 최근 수년간 150~500여세대의 도시형생활주택이 각각 들어섰다.

 

이 지역 중 남동구 간석4동의 제19대 대통령선거와 6회 지방선거 등 최근 2개 선거의 득표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6회 지방선거때 보수 진영인 새누리당 후보가 51.5%를 득표해, 48.5% 득표에 그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눌렀다.

 

하지만 3년 뒤인 19대 대선에서는 진보 진영 더불어민주당 후보(43.06%)가 보수 진영 자유한국당 후보(30.6%)를 10%p 이상 차이로 역전했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이들 10개동의 평균 득표율이 인천 전체 평균득표율(41.08%) 보다 높은 42%~46%를 기록했다. 정의당 등 진보진영의 득표율을 합하면 49%~55%까지 올라간다.

 

이에 따라 진보 성향의 젊은 유권자를 주요 지지층으로 삼고 있는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이들 지역에서 지지율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정의당 인천시당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대선 득표율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부평 4동 등 도시형생활주택 밀집지역의 득표율이 일반지역 보다 눈에 띄게 높아 이 지역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반면에 보수층을 기반으로 하는 자유한국당은 바닥 판세가 변하고 있는 도시생활주택 급증 지역의 젊은층 표심을 공략할 ‘핀 셋’ 전략을 구사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됐다.

 

부평지역에서 기초의원 선거 출마를 준비중인 자유한국당 A예비후보는 “전통 보수 우세 지역이었던 이 지역에 최근 수년간 도시형생활주택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 돼 있다”고 말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원도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도시형생활주택이 늘면서 30~40대 유권자를 불러 들이는 효과가 분명이 있다”며 “각 정당이 이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서는 교육과 안전, 주차문제 등 도시형생활주택에 사는 주민의 삶과 밀접한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