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형 이슈에 속도조절… ‘전략 vs 경선’ 곳곳 신경전
‘6·13 지방선거’ 옥석을 고르는 여야의 후보 공천전쟁이 8일 사실상 시작됐다. ‘미투’와 ‘남북정상회담’ 등 대형 이슈가 터지면서 후보 공천작업도 속도조절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략공천이냐’, ‘경선이냐’를 놓고 곳곳에서 신경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5일 정성호 의원(양주)을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장으로 임명한 데 이어 다음 주 초 위원 인선을 마치고 공천 작업에 착수한다.
광역단체장 경선의 경우 권리당원 투표 50%, 안심번호 여론조사 50%가 반영되는 가운데 경기도지사는 전해철 의원(안산 상록갑)과 이재명 성남시장ㆍ양기대 광명시장이, 인천시장은 박남춘 의원(인천 남동갑), 김교흥 전 국회 사무총장, 홍미영 전 부평구청장 간 3자 대결이 예상된다. ‘현역 국회의원 10% 감산’ 규정이 작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또 경기도당 공천관리위도 정식으로 출범, 이달 중순부터 공천 접수를 진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당 전략공천위원회에서는 조만간 전략공천 원칙 등을 논의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당헌·당규에는 광역단체장의 경우 전체의 20%, 기초단체장은 29곳 이내(경기 3곳·인천 1곳 이내)에서 전략공천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백혜련 대변인(수원을)은 “전략공천이 플러스 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면서 “당내 갈등을 양산하는 형태로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게 당의 입장”이라고 말해 ‘경선 실시’에 무게중심을 실었다.
자유한국당은 지난 7일 공천관리위원회의를 열어 이날 마감할 예정이었던 광역·기초단체장, 광역의원 후보접수를 오는 11일까지 3일 연장하고, 기초의원도 10일에서 13일로 연기했다. 당 관계자는 “후보들이 서류준비에 일정이 촉박하다는 하소연이 많았다”고 설명했지만 신청률 저조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낳았다.
이런 가운데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박종희·김용남 전 의원은 이날 모두 경기도지사 후보 공천신청을 마치고 경선을 대비한 본격 레이스에 돌입했다. 이에따라 당초 광역단체장 후보를 전략공천하려던 중앙당이 경기도지사 후보를 전략공천할 지 혹은 경선실시를 결정할 지 시선이 집중된다.
남 지사측은 “선수가 룰을 말하기는 어렵다”면서 “공천 때문에 당이 이지경까지 왔는데 납득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공천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선은 하기 나름이지만 컨벤션효과를 만들 수 있고 문제점도 걸러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종희·김용남 전 의원은 경선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특히 박 전 의원은 “토론회를 통해 정책 검증하고 축제처럼 경선을 해야 컨벤션효과가 나서 민주당 보다 훨씬 낮은 지지율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