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 “정부 GM 지원책에 경기도 없다···지역 구분 없이 지원해야”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한국 GM 군산공장의 폐쇄에 따른 정부의 지원대책에 대해 “피해기업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 ‘반쪽’짜리 지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남 지사는 GM 협력사 중 무려 25%가 도내에 위치했음에도 정부의 지원대상이 군산지역에만 한정됐다며 지역구분없는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8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한국 GM 군산공장 폐쇄 및 성동조선해양 구조조정에 대비해 약 2천400억 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역산업 구조조정 등에 따른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가 지원 대상을 군산과 통영 소재 GM 협력사와 소상공인으로만 한정하면서 도내 피해기업들은 지원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남 지사는 정부가 도내 피해 기업들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남 지사는 “정부가 통영과 군산에 대한 대규모 지원대책을 마련한 것은 환영한다”며 “하지만 한국 GM 철수문제로 마찬가지 어려움을 겪는 경기도 내 한국 GM 협력사들에 대한 지원책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 지사는 지역에 따른 구분이 아닌 GM 군산공장 폐쇄로 인해 타격을 입게되는 기업에 초점을 맞춘 지원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GM 군산공장이 폐쇄되면 도내 기업들 역시 당장 다른 납품처를 찾지 못해 대량실직 사태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정부의 지원책은 지역 구분 없이 모든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도내 GM 협력사들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한편 현재 도내에는 한국 GM에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의 25%인 750여 개 기업이 위치하고 있다. 특히 GM에만 납품하며 이번 사태로 직격탄을 맞게 된 협력업체도 20개사로 2천600명의 인력이 고용돼 있다.

 

이에 따라 한국 GM 군산공장이 문을 닫을 경우 도내 수백여 개 업체의 경영난은 물론 약 7만5천여 명의 종사자가 고용불안에 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장기적으로 보면 도내 생산유발효과 1조1천65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4천322억 원과 취업유발인원은 3천210명이 감소할 전망이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