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어 북미 ‘훈풍’에 개성공단 재개 가능성 고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방북 신청이 무산되더라도 4월 말 남북정상회담까지는 방북 신청을 하지 않기로 했다.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의 잇따른 타결로 개성공단 재개를 기대했으나 방북이 유보되더라도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 계획에 맞춰 인내하겠다는 것이다.

 

12일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등에 따르면 남북당국은 다음 달 말 판문점 남측 구역인 평화의 집에서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을 열기로 지난 6일 합의했다.

사흘 뒤인 지난 9일에는 미국이 북한의 정상회담 요청에 수락했다. 이에 따라 민간교류 재개나 이산가족 상봉,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인도지원뿐만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로 인해 막혔던 경제협력도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의 개성공단 방북 기대감도 커졌다. 이들이 지난달 26일 개성공단 내 시설점검을 위한 방북신청서를 제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설 점검’ 방북은 당장 이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방북 희망 시기는 12일로 밝혔지만 이날 방북은 무산됐다.

 

통일부는 “아직 북측의 반응이 없고 이대로 가면 지난번과 같이 방북 승인 유보 조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다만 행정적인 부분에서 오는 15일까지가 기한이기 때문에 그전까지는 북측의 초청장 등을 기다려 본다는 방침이다.

 

통일부는 개성공단 재개와 관련해서는 “재가동 부분에 있어 정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남북관계와 북핵 문제가 상호 선순환적으로 진전되는 과정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도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신한용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장도 “다음 달 남북정상회담 의제에 민간교류 확대에 대한 부분도 포함될 텐데 당연히 개성공단 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 이야기가 포함되지 않겠느냐”며 “그때까지는 우리가 인내하면서 정부의 큰 계획에 맞춰 나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기업들은 지난 2016년 2월 공단이 갑작스럽게 중단된 이후 공장을 잃고 휘청거렸다. 개성공단에 매인 투자ㆍ유동자산뿐 아니라 가동 중단 후 경영 악화로 인한 피해가 컸다. 

협력사들에 제때 대금을 결제하지 못해 소송에도 휘말려 있다. 시중금리 폭등으로 인한 경영자금 확보에도 어려움이 크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재무제표를 제출한 108개사의 2016년 매출은 2015년 대비 평균 26.8% 감소했다. 매출이 50% 이상 떨어진 기업(사실상 휴업ㆍ사업축소)도 23%인 25곳에 이르렀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