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특수’에 도내 대학가 요식·숙박업체 ‘즐거운 비명’

방학내내 한파 시달린 음식점 3~4월 수입 최대 300% 오르고
숙박업체도 MT 등 예약 꽉차 새 학기 특수에 ‘행복한 비명’

제목 없음-1 사본.JPG
“개강을 앞두고 학교 인근 식당과 펜션을 잡을 수 없어 예약에 진땀을 뺐습니다.”

 

용인 소재 H대 학생회 총무 C군(24)은 지난달 21일부터 개강을 앞두고 개강총회 및 MT 준비를 위해 음식점과 펜션 예약에 나섰으나 닷새 만에 간신히 예약 임무(?)를 완수했다. 

C군이 지난달 초부터 학생회 행사를 위해 교통편과 시설 좋은 곳을 발 빠르게 물색했으나 모교는 물론이고 다른 학교, 학과 대표 및 총무들도 나서는 바람에 웬만한 곳은 이미 예약이 찬 탓이다.

 

C군은 “1학기는 새 학년이 시작하는 시기라 개강 한 달 전부터 분주히 움직였는데 학생들이 원하는 괜찮은 곳은 이미 예약 전쟁”이라며 “장소가 다소 외지지만 그나마 예약금을 바로 입금해 장소를 확보할 수 있어 다행이다”고 말한 뒤 함박웃음을 지었다.

 

도내 대학가들이 이달 초부터 잇따라 개강함에 따라 방학 내내 한파에 시달렸던 요식업ㆍ숙박업체들도 ‘새 학기 특수’를 누리며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도내 대학 인근 음식점은 방학 때와 비교해 3~4월 수입이 약 150~300%가량 늘어나며 펜션 등 숙박업체도 30~50% 이상 매출이 증가한다.

 

용인 소재 D음식점은 인근 H대학의 개강으로 오전 11시부터 밤 9시까지 과 단위 행사로 방 예약이 꽉 찬데다 삼삼오오 찾아오는 학생들로 눈코 뜰 새 없이 일손이 바쁘다.

 

D음식점이 주변은 상대적으로 교통편이 좋지 않아 방학 때는 인근 주민 및 학교 직원들만 방문, 하루평균 15명의 손님을 맞았다. 그러나 대학 개강 이후 하루 평균 손님이 75~80명까지 증가했다.

 

새 학기 특수는 펜션 등 숙박업계도 마찬가지. 다양한 규모의 펜션들이 밀집된 광주는 주말마다 MT를 위해 밀려드는 대학생 단체 손님들로 차량정체(?)까지 빚고 있다.

 

광주 소재 G펜션은 지난달 초부터 새 학기 MT 예약을 받아 이번 달 첫째 주부터 다음 달 첫째 주까지 5주간 금ㆍ토ㆍ일요일 예약이 꽉 찬 상태다. 이곳은 60인 이상 수용할 수 있는 방이 총 5개지만 초과인원과 바비큐 기구 이용 등으로 한 달 수입이 상반기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G펜션 관계자는 “휴가철을 뺀 평일 손님은 큰 변화가 없지만 대학 개강 때는 학교 MT로 사실상 펜션의 또 다른 성수기”라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2~3년에 한 번씩 시설을 개ㆍ보수하며 학생들을 맞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