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드 갈링하우스 국내 기자간담회 참석 “아직 통화라 할 수 없어”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리플 최고경영자(CEO)가 가상화폐는 아직 통화가 아니며 사려 깊은 규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리플의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14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아직 통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통화가 되려면 실물 거래가 돼야 하는데 비트코인으로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사 먹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영원히 통화가 아닌 상태로 남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리플은 가상화폐 리플코인을 활용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금융기관 간 지급결제를 지원하는 엑스커런트(xCurrent), 리플코인을 활용한 송금 서비스인 엑스래피드(xRapid) 등을 서비스한다. 엑스커런트에는 국내은행으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이 참여하고 있다.
갈링하우스 대표는 리플을 “블록체인 업계의 아웃라이어(outlier·이단아)”라고 비유하며 무정부적이고 반 체제적인 가상화폐의 기본적인 문화와 달리 리플은 정부와 정책입안자·금융기관과 함께 문제 해법을 찾는 역발상 접근법을 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냅스터와 아이튠스의 사례를 들어 가상화폐 시장의 앞날을 가늠했다. 음원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냅스터가 디지털 음원의 혁명적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시스템을 무시하고 법과 규제를 어긴 이유로 오래가지 못하고 디지털 음원의 활성화는 시스템과 협업한 아이튠스가 실현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규제를 우회하고 익명 거래를 추구한다는 가상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시키고 싶은 대표적인 오해로 꼽았다. 리플은 당국, 금융기관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고 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갈링하우스 대표는 “소비자와 기업을 보호하려면 사려 깊은 규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 주에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가상화폐 규제가 논의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국제적인 차원의 규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리플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큰 것과 관련해 그는 리플코인뿐 아니라 디지털 자산의 공통된 현상으로, 디지털 자산이 아직 ‘청소년기’에 있어 단기간에 크게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비트코인의 변동성과 연동해 시세가 변하는 것에 대해 이런 동조화가 합리적이지 않다고 전했다. 가상화폐 공개(ICO) 규제가 이더리움과 같은 일부 가상화폐와 관련된 것인데 ICO 규제 도입으로 모든 디지털 자산 가격이 출렁하는 것이 비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갈링하우스 대표는 국제 송금 거래를 위해 10조 달러를 계좌에 예치해둬야 하는 현재의 시스템 문제를 해결해가는 리플의 서비스를 잘 꾸려가면 “리플코인의 시세는 3∼5년 저절로 해결될 것”고 전망했다.
이날 가상화폐 정보제공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리플코인의 시가총액은 309억 달러(32조8천900억 원)이다. 이는 비트코인(165조 원)과 이더리움(72조 원)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다. 국내에서는 리플의 인기가 높다. 글로벌 거래량의 20% 가량이 국내 거래소 빗썸에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