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지배구조 여전히 취약…지적내용 상당수 시정 안돼

금융당국 적합한 지배구조 자율적 구축 위해 개선방안 마련

▲ 금융감독원이 금융지주회사의 지배구조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지배구조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경기일보DB
▲ 금융감독원이 금융지주회사의 지배구조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지배구조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경기일보DB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금융회사의 지배구조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문제가 되던 내용도 상당수 시정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은 15일 “금융지주회사 지배구조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과거에 지적됐던 지배구조 취약부분이 상당 부분 시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금융회사가 지배구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조직문화에 적합한 지배구조를 자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발표하게 됐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금융지주사들은 형식적으로는 지배구조법상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과거부터 지적돼왔던 지배구조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지적된 문제점은 이사회의 구성 및 역할이 미흡하고 사외이사 선임 및 평가절차의 투명성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 최고경영자 경영승계계획 운영 미흡, 성과보수체계 정비 소홀 등이다.

점검결과에 따라 금감원은 “발견된 문제점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안에 반영을 추진할 것”이라며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개선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나머지 금융회사에 대해서도 점검 시행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사회 및 경영진과의 면담 등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지배구조상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평가해 감독검사업무에 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